[최보기의 책보기] 정통 작가의 깊은 글맛에 혼미하다

[최보기의 책보기] 정통 작가의 깊은 글맛에 혼미하다

입력 2024-06-03 16:32
수정 2024-06-03 16: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레드빈 케이크』 양선규 연작소설/ 강
『레드빈 케이크』 양선규 연작소설/ 강
신기한 일이다. 이래서 앞일은 누구도 알 수 없도록 설계한 신은 공평하다. 어젯밤 시구(詩句)를 생각했다. ‘엄마!/ 부를 사람이 있는 당신/ 고개를 높이 쳐들어라’였다. 양선규 연작소설 『레드빈 케이크』의 표제작 <레드빈 케이크>만 먼저 읽었다. 설마 우연일까? ‘엄마!’를 부르며 시작해 ‘엄마!’를 부르며 끝난다.

“아가야, 먹어라. 이건 엄마의 몸이다. 내가 너를 사랑하지 않거나 사랑한 적이 없다고 생각하지 말아라. 아가야, 세상에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엄마는 없단다. 어떤 엄마도 자식을 버리지는 않는단다… …” “그래요, 엄마, 아무것도 아니에요. 아무것도 아니죠. 그냥 쉬세요, 엄마… …” 이 대목에서 눈물이 앞을 가려 읽기 진도가 멈췄다. 누구에게나 ‘엄마’는 그렇지 않은가?

나는 2013년 양선규의 『우청우탁(寓淸于濁)』을 읽었다. ‘흐리고 맑음이 둘이 아니다’는 뜻이다. 한평생 살아보니 ‘모든 일이라는 게 때가 왔을 때 그렇게 할 뿐이다. 인생은 늘 그런 식이다. 중요한 일은 항상 먼저 사인이 오는 법이니 너무 애면글면 살지 않아도 된다’는 경륜의 나눔이었다. 신기하다. 오늘 오전 지인이 보내온 글에서 감동으로 얻은 한 문장도 이랬다. ‘Alles hat seine Zeit!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2016년에는 그의 『글쓰기 연금술』을 읽었다. 글쓰기 기술이 아니라 문학과 자아실현을 말하는 책이었다. 작가는 검도 고수다. 당시 그의 문장에는 무도(武道)를 갖춘 ‘칼잽이’의 겸양과 외유내강이 흘렀었다.

“가족 부양 같은 주어진 임무에만 목을 매고 사는 건 결구 소나 말, 개나 당나귀의 삶이 아닌가? 비록 자정까지만 딱 유효한 것이긴 하지만, 사람에게는 쥐가 끄는 호박마차 한 대쯤은 있어야 하는 게 아닌가.” 이렇게 감동을 먹이는 ‘레드빈 케이크(Red-bean Cake)’는 우리말로 적두병(赤豆餠), 대구 달성공원 명물 팥앙금빵이다. 대구는 소설가가 유년을 보냈던, ‘엄마와 헤어졌던’ 도시다.

소설가는 6.25 때 북한 피난민 부모를 만나 제주도가 고향이고, 1983년 『난세일기』로 제7회 오늘의작가상을 탔다. 이생진 시인의 『그리운 바다 성산포』를 읽다가 시인이 되고 싶어 견딜 수 없었는데 양선규의 『레드빈 케이크』를 읽고 나니 소설가도 되고 싶다. 나머지 14편도 마저 읽고 나면, 큰일이다.

최보기 북칼럼니스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