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희진·이근아 기자의 아무이슈] 장애인 일자리도 ‘배리어 프리’
장애인 129만여명 중 경제활동 53.6%일자리 다양화·확대 요구 72.5% 달해
대부분 정책도 직업재활에만 맞춰져
양적 변화가 없었던 건 아니다. 1991년 장애인 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장애인 고용 의무화, 의무고용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률은 0.43%에서 2019년 말 기준 2.97%로 약 7배 증가했다. 2002년 3개뿐이었던 장애인표준사업장(장애인 10명 이상 고용·상시 근로자 30% 이상을 장애인으로 고용 등의 조건) 수도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408곳으로 늘었다.
문제는 일자리의 종류다. 장애인표준사업장만 들여다봐도 절반이 넘는 61.8%(252곳)가 제조업으로 집계된다. 서비스업은 156곳에 그친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제외하면 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여건이 여의치 않다는 얘기다.
장애 특성에 따른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지 못한다는 점도 지적된다. 한국은 장애를 등급으로 나누거나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 심하지 않은 장애인으로 구분해 장애인의 수요와 필요를 가늠한다. 대부분의 정책이 소득보장을 위한 직업재활정책에만 맞춰져 있는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장애인은 ‘직업’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한정된 영역을 넘어 세상에 기여하고 싶다는 이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 봤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20-12-22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