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한국 속 일본, 일본 속 한국-6회 한류와 일류, 새 한일관계를 여는 열쇠] 히로다 요코다 한국콘텐츠사업자협 회장
“한류는 지금도 일정한 규모를 갖고 있고 유지되는 정착된 시장이다. 방송 및 VOD 시장 등을 제외한 드라마 DVD 발매 기준으로 볼 때 일본에서 100억엔(약 924억원) 정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2008년에 180억~200억엔까지 올라간 일도 있었다.”일본에서 활동하는 히로다 요코다 한국콘텐츠사업자협의회 회장은 최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두 나라 간의 외교관계 악영향으로 한류 붐은 사그라들었지만 한류는 일정한 규모를 가진 시장으로 정착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한류를 평가한다면.
-2003년 겨울연가를 중심으로 크게 일어났다. 그 이전에 한국 콘텐츠는 장르로서 전무했다. 지금은 거품이 꺼졌지만 일정한 팬을 갖고 있고, 한류라는 장르로 정착돼 있다. 홍콩, 인도 영화 붐이 일본에서 한때 일어났다가 사라져 버린 것과는 대조적이다. 어느 정도 부침이 있었지만 궁 등 멜로 드라마와 대장금, 주몽 등 시대극이 꾸준하게 인기를 끌었다. 2011년 이후에는 이렇다 할 드라마 분야의 히트작이 없었다.
→두 나라 정부 간 관계 악화가 한류 붐이 사그라드는 데 큰 영향을 줬나.
-정부 간 관계가 거북스럽게 되면서 후지TV, TV아사히 등 지상파 방송들이 한국 드라마 편성을 자제하게 됐고, 공중파를 통한 (한류) 노출이 줄어들게 됐다. 공중파를 플랫폼(발판)으로 확산이 돼야 하는데, 그런 통로가 차단되게 된 게 타격이었다. 민영 방송들이 앞서서 “한국 드라마를 틀 필요가 있느냐”는 움직임이 일었고, 사실 그렇게 됐다. 미디어의 역할이 컸다.
→그 뒤 일본의 공중파에서 한국 드라마를 보기 힘들게 됐는데.
-위성방송(BS) 채널에서는 (한국 드라마를) 여전히 많이 틀고 있다. 고정 팬들이 있다는 것이다. BS 시청자들도 중년층이 대부분이다. 모바일과 VOD를 선호하는 젊은 사람들은 BS를 잘 보지 않고, DVD 대여점에도 잘 가지 않는다는 게 한류의 지속을 위해 극복해야 할 문제다.
→한류의 미래를 어떻게 보나. 한류 붐이 다시 올 수 있을까.
-중국에서 히트를 친 ‘별에서 온 그대’가 일본에서도 수입은 됐지만 히트를 치지 못했다. 붐을 일으킬 수 있는 작품이었지만 그런 붐을 일으키지 못했던 것은 일본의 한류 시장이 성숙했음을 의미한다. 붐은 없었던 것에서 새로 생기는 것이다. 한류 붐의 초기 일본 시청자들이 보고 싶어 하는 게 확실했다. 순애보를 중심으로 한 일본 드라마에서 찾기 어려운 내용들, 그런 드라마를 보면서 중년들이 추억과 어린 시절을 되새겼다. 지금은 한류 드라마가 다양해지고 각양각색의 모습을 띠게 됐다. 최근 중국 드라마의 성장이 일본에서도 눈에 띄고 있다. 한국 드라마와 많이 비슷해져 왔다. 한국인 배우과 작가, 스태프를 사용한 중국 드라마가 늘면서 일본 내 한국 드라마들의 경쟁 상대가 되고 있다. 앞으로 더 큰 위협이 될 것이다.
→일본에서 한류 팬들의 특징은 무언가.
-드라마 쪽에서 충성도가 강한 핵심 팬들은 일본 전국적으로 50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핵심 팬들은 50~60대 중년 여성들이다. 김삼순, 궁 등의 드라마가 젊은 팬 층을 확보하긴 했는데 시간이 지나 당시 30대들이 40대가 돼 버렸다. 한국 드라마를 좋아하는 친구들, 지인들이 주변 사람들에게 서로 권유해 연령층에 따라서 횡적으로 한류 확산이 이뤄지고 있다.
글 사진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5-07-2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