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46년이 지난 지금도 작동하고 있었다고? 자료를 찾아보니 발사할 때 실은 원자력 전지의 용량은 2020년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됐다. 나사는 불필요한 기능을 하나씩 중단하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아껴 2030년까지는 지구와 통신할 수 있게 하려고 한다.
더 오래 날아가고 교신하기 위해 불필요한 기능을 과감히 끄다니. 이건 삶의 후반부를 살아갈 방향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 같다. 젊을 때는 생산적이고 도전적이다. 새로운 기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 실패는 낭비가 아니라 필요한 배움과 경험의 과정일 뿐이다. 그러니 일을 벌이고 새 인맥을 만드는 데 힘을 쏟는다.
아테네 최고의 발명가 다이달로스는 미노스왕에 의해 아들과 미궁에 갇혔다. 그는 밀랍과 깃털로 날개를 만들어 아들 이카로스에게 주고 함께 탈출했다. 처음 하늘을 날아오른 이카로스는 신이 나서 아버지의 경고를 무시하고 너무 높이 올라 태양 가까이 가는 바람에 떨어져 죽고 말았다. 힘이 닿는 데까지 최대한 높이 날아올라 보는 것은 청춘이 가진 특권이다. 아버지의 경고를 어기는 것도 아름다워 보이는 20대다.
하지만 중년기 이후엔 달라질 필요가 있다. 이제는 꼭 필요한 것, 해야 할 것이 아니면 보이저호가 그랬듯 하나씩 중단해야 한다. 이것은 내 인생이 내리막이라서가 아니라 나를 보호하고 더 오래 날아가기 위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일이다.
그리고 이때부터는 이카로스가 아닌 거대한 날개를 가진 앨버트로스를 떠올린다. 하루에도 1000㎞를 날아가며 주기적으로 세계 일주를 하고 대서양을 넘나든다. 힘찬 날갯짓을 하지 않고 바람의 상승와 하강 기류를 잘 타고 활강을 할 뿐이다. 그래서 활공할 때 심박수는 앉아서 쉴 때와 크게 다르지 않고, 오래 비행을 하는 동안 우뇌와 좌뇌가 번갈아 잠을 자는 단일 뇌반구 수면을 취한다.
후반부의 날개짓은 어디까지 갈 수 있나 해 보는, 죽어도 여한이 없이 끝까지 욕망을 추구하는 이카로스가 아니라 훌훌 기류를 타고 힘을 들이지 않고 저 멀리까지 날아가는 앨버트로스 같아야 한다. 재미없지만 힘은 덜 들게.
우리는 살면서 어느 시기부터는 이렇게 살면서 드는 에너지를 운용하는 방식을 바꿔야 하는 순간을 만난다. 보이저호가 기능을 하나씩 끄면서 태양계를 넘어선 다음에도 지구와 끝까지 소통을 하려고 하듯이, 앨버트로스가 기류를 이용해 힘들이지 않고 뇌의 반만 쓰면서 대서양을 건너갈 수 있듯이. 시간의 흐름에 맞춰 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그 끝이 어디인지 모르지만 지치지 않고 그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2023-12-15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