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개국 참여 ‘PISA 2022’ 발표
수학·읽기·과학 모두 OECD 1~7위
다른 국가와 달리 평균점수 상승
“원격 교육으로 학습 손실 줄여”
수학 하위권 늘고 학생 격차 커져
PISA 2022 결과에 따르면 OECD 회원국 37개국 가운데 한국은 수학 1~2위, 읽기 1~7위, 과학 2~5위로 최상위권에 올랐다. 평가에 참여한 81개국 중에는 수학 3~7위, 읽기 2~12위, 과학 2~9위로 상위권으로 평가됐다. 전 분야 1위는 싱가포르가 차지했다.
PISA 순위는 국가별로 95% 신뢰수준에서 표본 오차를 고려해 해당 국가의 최고 순위와 최하 순위를 낸다. PISA는 전 세계 만 15세(중3·고1)를 대상으로 3년 주기로 실시된다. 이번에는 2021년 예정됐던 검사가 코로나19로 한 해 연기됐다. 전 세계 81개국 약 69만명이 평가 대상이고 한국은 186개교 6931명이 참여했다.
한국은 PISA 2018 대비 모든 영역에서 평균 점수가 소폭 올랐다. 4년 전에 비해 수학은 526점에서 527점으로 1점, 읽기는 514점에서 515점으로 1점, 과학은 519점에서 528점으로 9점 높아졌다. 순위도 최고 순위 기준으로 2~4계단 상승했다. 지난 PISA 2018에선 전체 참여국 중에 수학이 5~9위, 읽기 6~11위, 과학이 6~10위였고 OECD 국가 가운데 수학은 1~4위, 읽기 2~7위, 과학 3~5위였다.
한국의 성취 수준이 유지된 것은 원격수업 여파가 다른 국가에 비해 작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OECD 평균 점수는 PISA 2018 대비 하락해 수학이 489점에서 472점, 읽기가 487점에서 476점, 과학은 489점에서 485점으로 떨어졌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PISA 2022 국제 발표회에 참석해 “한국은 우수한 인터넷 환경으로 원격교육 시 학생과 교사의 소통이 원활했다”며 “교사들의 노력으로 등교 중지 기간 학습 손실이 적었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평균 점수는 올랐지만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어서 성취 수준이 유지된 것으로 판단했다”며 “순위 상승은 다른 국가들의 평균 점수가 많이 하락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수학에서는 상위권과 하위권 격차가 커졌다. 수학 상위 성취 수준을 보인 학생의 비율이 늘었지만 하위 성취 수준 비율도 15%에서 16.2%로 많아졌다. 수학 성취에서 학교 내 학생 간 차이, 학교 간 차이도 OECD 평균보다 더 벌어졌다. 수학 점수에서 전체 학생 간 격차도 10년 전인 PISA 2012 때보다 커졌다.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수는 “사교육비가 늘었을 가능성이 있어 성취도가 유지된 이번 결과가 공교육의 효과인지는 더 분석해 봐야 한다”면서 “이번 결과는 학습 결손이나 양극화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뜻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2023-12-06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