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기상청 ‘독도=일본땅’ 표기…외교부 “시정 요구” 강력 항의

日기상청 ‘독도=일본땅’ 표기…외교부 “시정 요구” 강력 항의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2-09-05 17:18
수정 2022-09-05 17: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2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기한 일본 기상청 홈페이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제공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기한 일본 기상청 홈페이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제공
외교부는 일본 기상청이 제11호 태풍 ‘힌남노’ 기상 경보 지도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기한 것과 관련해 “강하게 항의하고 시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5일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임을 재차 밝힌다”며 외교채널을 통해 정부의 입장을 일본 측에 전달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당국자는 “우리 정부는 우리의 영토 주권에 대한 일본의 부당한 주장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앞서 일본 기상청은 힌남노가 4일 오후 일본 오키나와 본섬과 대만 사이를 통과해 한반도로 접근하고 있다고 예보하면서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기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날 인스타그램에 일본 기상청이 홈페이지에 올린 ‘현재 예상 전국 일람’을 공개했다.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한 것과 관련해 서 교수는 “이는 명백한 영토 도발이다.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이기 때문”이라며 즉각 항의 메일을 보냈다고 밝혔다.

일본 기상청과 야후재팬 등은 이전부터 날씨 앱 등에서 독도를 자국 땅으로 표기해 왔다. 서 교수는 “태풍, 쓰나미 경보 시 기상청 사이트에 자주 들어오는 일본 누리꾼에게 독도에 관한 잘못된 인식을 줄 수 있기에 꾸준한 항의를 통해 반드시 수정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