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 정치적 고향인 대구 달성으로 돌아간 24일 사저 앞에 환영 애드벌룬이 날리고 있다. 연합뉴스
박 전 대통령은 2017년 3월 대통령직에서 탄핵된 이후 뇌물 및 직권남용 혐의로 징역 22년을 선고받고 복역하다가 지난해 12월 31일 특별사면으로 풀려났다. 당시에도 ‘사면에는 최소한의 반성과 사과가 있어야 하는데 당사자는 어떤 반성과 사과도 내놓지 않았다’는 비판이 뒤따랐다. 그럼에도 문재인 대통령은 “과거에 매몰돼 서로 다투기보다는 미래를 향해 담대하게 힘을 합쳐야 할 때”라면서 사면권을 행사했지만, 당사자의 반응은 없었다.
이제 ‘탄핵의 강’을 건너 진정한 화합과 포용의 길에 들어설 수 있느냐 여부는 전적으로 박 전 대통령 자신에게 달려 있다. 그는 어제 “돌아보면 지난 5년의 시간은 저에게 무척 견디기 힘든 그런 시간이었다”고 했다. 그 ‘견디기 힘든 시간’을 ‘화해를 성숙시킨 시간’으로 승화시키고자 한다면 더이상 누군가에게 책임을 돌리는 자세에 머물러 있어선 안 된다.
박 전 대통령의 향후 모든 행보에는 정치적 의미가 부여될 수밖에 없다. 인사말에도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작은 힘이나마 보태려고 한다”는 대목이 있었다. 그럴수록 “많이 부족했고 실망을 드렸다”는 정도의 표현에서는 사과의 진정성을 읽기 어렵다. 그가 정치를 재개할지는 알 수 없지만 자연인 ‘박근혜’의 새 출발을 위해서도 과오를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는 통과의례는 필요하다.
2022-03-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