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시민사회단체연합 등 600여 시민단체로 구성된 정권교체국민행동 대표들이 8일 국회 소통관에서 윤석열, 안철수 대선 후보의 단일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결선투표제가 없는 우리로선 후보 단일화 의제가 역대 대선의 단골 메뉴였지만 국가 전체로 보면 마이너스 측면도 적지 않았다. 1997년 DJP(김대중·김종필) 연합, 2002년 노무현ㆍ정몽준, 2012년 문재인ㆍ안철수 단일화 등의 과정을 돌이켜 보면 건전한 선거문화를 선도하기보다는 ‘권력 나눠 먹기’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 윤·안 두 후보가 내세우는 국정 비전과 정책을 공유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국정 청사진 제시 없이 대선 승리만을 노린, 정치공학적 단일화 협상은 실패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
대선후보 등록(13∼14일)을 목전에 두고 야권 단일화 협상을 빠르게 매듭짓지 못하면 후폭풍도 만만치 않다. 후보 단일화 논란이 국가의 미래를 밝히는 정책 선거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됐다는 과거의 경험을 잊어선 안 된다. 기술·경제 패권 전쟁이 가속화하는 글로벌 정글에서 대한민국의 생존책을 찾는 데도 시간이 촉박하다. 지속가능한 성장과 국민의 삶의 질 제고도 절실하다. 후보 단일화가 국민 모두가 공감하는 명분도 아니다. 야권이 후보 단일화를 둘러싸고 기싸움과 줄다리기로 시간을 허비한다면 유권자들의 거센 역풍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양 진영은 인식해야 한다.
2022-02-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