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꿈의 의석’ 180석 성공하자 조국 사수세력 본색 드러내”

“‘꿈의 의석’ 180석 성공하자 조국 사수세력 본색 드러내”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0-04-18 15:14
업데이트 2020-04-18 15: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수진 미래한국당 대변인, 최강욱 당선자 발언 비판

이미지 확대
현충탑 참배 마친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현충탑 참배 마친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와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대책위원장, 더불어시민당 최배근 공동대표 등이 17일 오전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에 참배 후 이동하고 있다. 2020.4.17 연합뉴스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21대 국회에 입성한 조수진 미래한국당 대변인이 18일 열린민주당을 비판했다.

조 대변인은 최강욱 전 청와대 공직기강 비서관이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검찰개혁과 언론개혁을 주장한 것에 대해 비난했다.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자인 최 전 비서관은 검찰과 언론을 향해 “세상이 바뀌었다는 것을 확실히 느끼도록 갚아주겠다”라고 밝혔다.

최씨는 “한 줌도 안 되는 부패한 무리의 더러운 공작이 계속될 것”이라며 “그것들이 두려웠으면 나서지도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최소한 저 사악한 것들보다 더럽게 살진 않았다”라고도 했다.

조 대변인은 최씨의 발언을 검찰과 언론에 대한 협박이라고 규정하며 “부패하고 사악한 자들은 상식이 바뀌지 않는다는 진리를 확실히 모른다. 무지하지 않고서야 이런 오만방자함을 과시할 리 없다”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최 전 비서관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아들 입시 비리에 가담한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이란 사실을 강조하며 그가 변호사 시절 조 전 장관에게 가짜 인턴 확인서를 건네며 “합격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조 전 장관이 청와대 민정수석이 되자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에 발탁됐다고 설명했다. 최 전 비서관은 검찰의 기소에도 50여일을 사퇴하지 않고 버티다 은근슬쩍 총선 후보로 둔갑해선 줄기차게 ‘보복’을 운운해왔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열린민주당 비례 당선 3인
열린민주당 비례 당선 3인 4·15 총선에서 당선된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후보들이 16일 서울 여의도 열린민주당 당사에서 당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진애, 최강욱 당선자, 정봉주 최고위원, 강민정 당선자, 손혜원 최고위원.
뉴스1
조 대변인은 “힘 있는 자에게 빌붙기 위해 불법 행위를 하는 자, 그 대가로 고위 공직을 받아먹는 매관매직까지 서슴지 않는 자, 그리고도 반성하지 않는 자, 반성은커녕 오히려 ‘보복하겠다’라고 협박하는 자가 부패하고 사악한 자”라고 표현했다.

조 대변인은 “개헌만 빼고 뭐든 가능하다는 ‘꿈의 의석’ 180석 달성에 성공하자마자 조국 사수 세력이 본색을 드러냈다”고 단언했다.

또 “권력형 범죄로 재판이 진행 중인 부패하고 사악한 자가 언론을 향해서까지 ‘확실히 갚아주겠다’라고 큰소리치는 그 오만함을 여태껏 단 한 번도 경험한 일이 없다”며 “이번 총선은 조국 사수 세력의 ‘가짜 정의’, ‘가짜 공정’, ‘가짜 진보 팔이’에 몰표를 준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국가적 위기 국면에선 집권 세력에 힘을 모아줘야 한다는 심리가 작용한 것이라고 조 대변인은 부연했다.

또 선거에 이겼다고 불법이 합법으로 바뀌지 않는다며 야당이 궤멸된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최강욱씨 같은 자 많아 봐야 ‘백팔번뇌’ 될 뿐이란 건 과거 열린우리당이 증명해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열린우리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 사태로 2004년 17대 총선에서 152석의 과반을 차지하며 압승을 거뒀지만 이후 잇딴 개혁과제 실패로 지지율이 급락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전날 “열린우리당의 아픔을 깊이 반성한다”고 언급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