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순건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이런 ‘연구 결과’들은 순수과학 분야보다는 사회에 영향을 많이 미치고 정책적 판단의 근거가 되는 분야에서 특정 산업의 이해관계나 특정 지역민들의 정서에 따라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 주는 경우가 많다.
과학 연구는 그 특성상 지원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국가 지원 이외에 수많은 지원들 중에는 학문적 청렴성을 오염시키는 것들이 섞여 있다. 공개경쟁을 통한 연구비 수주가 아닌 지원을 받는 연구들은 바라는 결과의 방향성에 따라 원하는 결론을 내려고 한다. 연구를 처음 설계하는 과정부터 원하는 결론에 맞게 한다든지, 데이터를 왜곡하거나 공공데이터를 독점한다든지, 특정 연구자들을 의도적으로 배제한다든지 하는 일들이 비일비재하다. 금전적 이해 이외에도 정책입안을 통한 권력 등 다른 이익을 노린 연구들도 간혹 있다.
이런 연구 결과들도 엄격한 학문적 잣대로 걸러낼 수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논문 발표 과정에서 검증은 매우 엄격하지만 학술매체들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런 오염된 결과들을 완벽히 걸러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그런 연구를 지원하는 조직들의 영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오염된 연구 결과들이 이념에 경도 돼 있는 언론 매체들에 의해 크게 홍보되기도 하는 것이다.
과학자는 자신의 생각과 다른 데이터를 얻었을 때 그 생각을 버리고 데이터를 소중히 여기는 자세가 필요하다. 과학이 인간의 다른 활동에 비해서 조금이라도 더 존경을 받는 분야로 남기 위해서는 이런 오염된 연구에 대한 자정이 필요하다.
최근 코로나19, 식량위기, 기후위기 때문에 인간문명세계는 완전히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이 험난한 상황에서 우리를 구할 수 있는 것은 과학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다. 많은 정책적 판단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서 이루어져야만 하는 때이다. 그런데 철저한 과학적 판단보다는 정치적 판단을 앞세워 ‘전문가적’ 의견을 내고, 이런 과정에서 엄청난 이득을 취하는 과학자들이 간혹 보인다. 공공재여야만 하는 데이터를 교묘하게 독점해 정책연구비를 끌어와 학문적 이득을 취하고 있는 집단도 보인다. 현대 과학의 중심지인 미국에서도 그러하다.
그렇지만 진실된 과학연구를 지원하는 것은 국민들이고 오염된 연구 결과들이 과다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중의 지지가 더 필요하다. 진실된 과학은 반드시 국민들에게 더 큰 것으로 보답하기 때문이다.
2020-04-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