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가 김선두 개인전 19점 선보여…‘남한산성’ 표지·‘취화선’ 장승업 대역도
느린 풍경-덕도길(2019). 장지에 분채.
학고재 제공
학고재 제공
김선두는 바탕 작업 없이 색을 중첩해 우려내는 ‘장지화’로 잘 알려져 있다. 장지 위에 분채를 수십 차례 반복적으로 쌓아올려 깊은 색을 이끌어 내는 방식으로 수묵채색화의 지평을 넓혔다. 이번 개인전은 현대회화로서 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꾸준한 실험을 바탕으로, 일상에서 얻은 통찰을 주제로 담아낸 19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느린 풍경’ 연작은 어느 비 오는 여름날 꽉 막힌 서울 시내 도로 차 안에 있다 불현듯 떠오른 깨달음에서 비롯됐다. “차가 움직이지 못하니 평소 안 보이던 간판들이 보였다. 속도를 줄여야 주변 풍경이 눈에 들어오는 경험이 새롭게 다가왔다. 나도 한때 유명화가가 되겠다는 욕심에 앞만 보고 달리느라 바쁘게 살아왔지만 이게 ‘잘 사는 삶일까’ 회의가 들었다. 내 삶의 속도를 줄이면 인간미 있고, 여유 있는 삶을 누릴 수 있겠구나 싶었다.” 반사경은 지나온 길을 비춰 주는 동시에 앞으로 나아갈 길을 밝혀 준다는 점에서 도로 위에서뿐 아니라 우리의 긴 인생길 굽이굽이에 세워 둬야 할 안전판인 셈이다.
‘별을 보여드립니다’ 연작은 현상 너머의 본질을 추구하려는 작가의 의지가 드러난 작품이다. 붉고, 푸르고, 검은 배경에 낮별이 촘촘히 박힌 그림들은, 환경에 따라 나타났다 사라지는 별이 사실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다는 당연한 진리를 새삼스럽게 일깨운다. 그런가 하면 양쪽으로 펼쳐서 말린 도미의 형태를 그린 ‘마른 도미’는 양극화 사회에 대한 우려를 담았다. “작년에 해남 시장에 가서 본 마른 도미가 마치 괴물 같았다”는 그는 한쪽 눈은 붉은색, 다른 눈은 파란색으로 칠해 극단적인 대립을 형상화했다. 자신의 20대 시절을 회상하며 그린 자화상 ‘행-아름다운 시절’은 도도한 시간의 흐름 안에서 한낱 먼지와 같은 인생의 덧없음을 드러냈다.
전남 장흥에서 태어난 김선두는 중앙대 한국화과와 동 대학원을 나와 현재 중앙대 미술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 표지를 그렸고, 임권택 감독의 영화 ‘취화선’에서 오원 장승업의 그림 대역을 맡아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았다. 전시는 3월 1일까지.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1-2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