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학생들의 평균 학업성취도가 최근 3년 사이 떨어진 가운데 우리나라는 수학과 과학의 성취도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하위’ 오명을 쓴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도 3년 사이 상승 곡선을 그렸다. 그러나 읽기 성취도는 소폭 하락하고 학생들 간 격차도 확인됐다.
OECD는 3일 프랑스 파리에서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18) 결과를 발표했다. PISA는 전세계 만 15세 학생의 읽기와 수학, 과학 성취도를 3년 주기로 평가해 국제적으로 비교하는 연구로, 지난해에는 OECD 회원국 37개국과 비회원국 42개국 등 총 79개국에서 약 71만명이 참여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총 188개교에서 6876명이 참여했다.
평가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영역별 평균 점수는 읽기 514점, 수학 526점, 과학 519점으로, OECD 회원국의 평균 점수가 전 영역에서 하락했지만 우리나라는 수학과 과학 평균 점수가 각각 2점과 3점 올랐다. 우리나라의 순위는 OECD 회원국 중 읽기 2~7위, 수학 1~4위, 과학 3~5위였으며 전체 79개국 중에서도 읽기 6~11위, 수학 5~9위, 과학 6~10위 등 상위권을 차지했다. 2015년 평가에서 과학 순위가 OECD 회원국 중 5~8위, 전체 참여국 중 9~14위였으나 3년 사이 소폭 올랐다. PISA 평가는 같은 점수라도 나라별 참여인원 크기와 오차를 고려해 순위를 범위로 내고 있다.
다만 읽기 영역에서는 상위권과 하위권,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의 격차가 확인됐다. 수학과 과학은 상위 성취수준(5수준 이상) 비율이 증가하고 하위 성취수준(1수준 이하) 비율은 감소했지만, 읽기에서는 상위 성취수준이 3년 새 0.4%포인트 증가함과 동시에 하위 성취수준도 1.5%포인트 증가했다. 또 여학생(526점)과 남학생(503점) 간 평균 점수가 24점 벌어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여학생의 점수가 높았다. 읽기 성취의 학생 간 차이를 보여주는 ‘학교 내 분산 비율’(77.2%), 학교 간 차이를 보여주는 ‘학교 간 분산 비율’(30.7%)도 OECD 평균(71.2%·28.6%)보다 높아 읽기 능력의 학생 간, 학교 간 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PISA 2018의 주영역인 읽기 영역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만화와 소설, 비소설(교양서적 등) 읽기 비율이 OECD 평균보다 높은 반면 신문과 잡지 읽기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또 온라인 채팅, 온라인 뉴스 읽기, 온라인으로 실용적인 정보 검색하기 비율은 OECD 평균과 비슷했지만, 이메일 읽기, 특정한 주제에 대해 알기 위해 온라인 정보 검색하기, 온라인으로 집단·공개 토론 참여하기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한편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 지수(6.52)는 OECD 평균(7.04)보다 낮았지만 2015년(6.36) 대비 0.16 높아졌다. 3년 사이 OECD 평균은 7.31에서 7.04로 0.27 내려앉았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 지수는 지난 2015년에는 49개국 중 터키에 이은 48위였으며, 2018년에는 71개국 중 터키와 브루나이, 마카오, 일본, 영국, 홍콩에 이어 65위였다. 평가원 관계자는 “해당 문항의 전체 국가가 49개국에서 71개국으로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세계 최하위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18) 결과
평가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영역별 평균 점수는 읽기 514점, 수학 526점, 과학 519점으로, OECD 회원국의 평균 점수가 전 영역에서 하락했지만 우리나라는 수학과 과학 평균 점수가 각각 2점과 3점 올랐다. 우리나라의 순위는 OECD 회원국 중 읽기 2~7위, 수학 1~4위, 과학 3~5위였으며 전체 79개국 중에서도 읽기 6~11위, 수학 5~9위, 과학 6~10위 등 상위권을 차지했다. 2015년 평가에서 과학 순위가 OECD 회원국 중 5~8위, 전체 참여국 중 9~14위였으나 3년 사이 소폭 올랐다. PISA 평가는 같은 점수라도 나라별 참여인원 크기와 오차를 고려해 순위를 범위로 내고 있다.
다만 읽기 영역에서는 상위권과 하위권,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의 격차가 확인됐다. 수학과 과학은 상위 성취수준(5수준 이상) 비율이 증가하고 하위 성취수준(1수준 이하) 비율은 감소했지만, 읽기에서는 상위 성취수준이 3년 새 0.4%포인트 증가함과 동시에 하위 성취수준도 1.5%포인트 증가했다. 또 여학생(526점)과 남학생(503점) 간 평균 점수가 24점 벌어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여학생의 점수가 높았다. 읽기 성취의 학생 간 차이를 보여주는 ‘학교 내 분산 비율’(77.2%), 학교 간 차이를 보여주는 ‘학교 간 분산 비율’(30.7%)도 OECD 평균(71.2%·28.6%)보다 높아 읽기 능력의 학생 간, 학교 간 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PISA 2018의 주영역인 읽기 영역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만화와 소설, 비소설(교양서적 등) 읽기 비율이 OECD 평균보다 높은 반면 신문과 잡지 읽기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또 온라인 채팅, 온라인 뉴스 읽기, 온라인으로 실용적인 정보 검색하기 비율은 OECD 평균과 비슷했지만, 이메일 읽기, 특정한 주제에 대해 알기 위해 온라인 정보 검색하기, 온라인으로 집단·공개 토론 참여하기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한편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 지수(6.52)는 OECD 평균(7.04)보다 낮았지만 2015년(6.36) 대비 0.16 높아졌다. 3년 사이 OECD 평균은 7.31에서 7.04로 0.27 내려앉았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 지수는 지난 2015년에는 49개국 중 터키에 이은 48위였으며, 2018년에는 71개국 중 터키와 브루나이, 마카오, 일본, 영국, 홍콩에 이어 65위였다. 평가원 관계자는 “해당 문항의 전체 국가가 49개국에서 71개국으로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세계 최하위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