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통한 간편투자 ‘상품 위험성’은 숨어 있네

앱 통한 간편투자 ‘상품 위험성’은 숨어 있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8-11-26 17:52
수정 2018-11-26 18: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체 등 적시 않고 기대 수익률만 강조
펀드와 달리 본인 투자성향 확인 안 해
투자자들 손실 가능성 직접 이해 한계


카카오페이나 토스 등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투자 상품이 판매되면서 접근성은 향상됐지만 정작 투자자들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기존 금융사와 비교할 때 상품의 장점을 직관적으로 소개해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상품의 위험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법적 금융 상품이 아닌 P2P(개인 대 개인) 상품은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핀테크(금융+기술) 앱은 상품의 기대 수익률을 강조하는 대신 연체나 부실 가능성 등은 최대한 숨긴다. 이날까지 일주일 동안 카카오페이가 판매한 17개 상품은 모두 A사의 P2P 투자 상품이다. 카카오페이는 개인 대출 채권이나 온라인몰 매출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에 대해 ‘연체 및 부실률(30일 이상 연체)이 0%’라는 점을 투자 포인트로 꼽았지만, 30일 미만 연체에 대해 적시하지 않았다. 아파트 담보대출 상품 등의 연체 및 부실률은 아예 안내가 없다. B사의 P2P 상품을 중개하는 토스도 목표 수익률과 원금 손실 가능성만 알렸다.

또 ‘중위험 중수익’처럼 명확하게 P2P 상품의 위험도를 표시하지 않았다. 펀드나 주식과 달리 투자하기 전에 본인의 투자 성향을 확인하는 단계도 없다. 토스는 ‘안정 투자형’, ‘균형 투자형’, ‘수익 투자형’으로 P2P 상품을 분류해 투자자가 상품의 위험성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카카오페이는 직원 5명의 심사를 거쳐 상품을 팔지만, 카카오페이에서 파는 상품만 심사하고 P2P 회사의 모든 상품을 관리하지 않아 ‘이중 담보’ 등은 걸러내는 데 한계가 있다.

아울러 펀드는 판매사 수수료와 운용사 수수료를 구분해 표시하지만, P2P 상품은 판매사인 앱과 상품 개발사가 받는 수수료를 투자자에게 합해 고시한다. A사는 투자 잔여 원금의 1.2%를 수수료로 받고, A사가 카카오페이에 판매 수수료를 내는 방식이다. 토스 역시 상품 개발사로부터 받는 수수료를 공개하지 않는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투자자에게 직접 받는 수수료가 없다”고 말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8-11-2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