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서울 중구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열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함께하는 추석차례상 차리기’ 행사에서 한복을 입은 외국인들이 차례를 체험하고 있다. 2017.9.21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차례는 간소하게 차리고 남녀가 함께 지내는 것이 전통 예법이다. 그러나 상차림 가짓수가 정성의 척도로 여겨지고 여성은 차례 예식에서 제외하는 잘못된 관행이 자리잡으면서 명절 때마다 불필요한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23일 유교를 연구하고 가르치는 성균관에 따르면 명절 차례는 기일 제사와 달라 많은 음식을 올리지 않아도 된다. 지나친 차례상은 신분제 붕괴와 근대화를 거치며 생긴 일종의 허례허식이라는 게 성균관의 지적이다.
차례(茶禮)는 글자 그대로 차를 올리는 예식이라는 뜻이다. 조상에게 차를 올리는 풍습은 매달 보름 차를 올리고 사당에 참배했던 중국의 풍습이 신라 때 전래한 것에서 그 유래를 찾기도 한다.
율곡 이이는 제례에 관해 서술한 ‘제의초’에서 차례에는 제철 음식을 올리되 별다른 게 없으면 떡과 과일 두어 가지면 된다고 했다.
17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한국문화재재단 주최로 열린 ‘어서와 추석愛 한국의집은 처음이지?’ 미디어행사에서 남한과 북한의 차례상(사진은 남한의 차례상)이 전시되어 있다. 오는 23일 부터 25일까지 외국인과 외국인 동반 내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행사에서는 한국 추석과 관련된 전통문화를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다. 2018.9.17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요즘 제사상이나 차례상에 필수 음식으로 여겨지는 전을 올리지 말라고 했던 예서도 있다.
조선 후기 안동 출신 유학자 동암 유장원 선생은 ‘상변통고’에서 제불용고전지물, 즉 기름으로 부친 전 등은 제사에 쓰지 말라고 했다.
방동민 성균관 석전보존회 사무국장은 “중국의 예서 ‘예기’에도 이와 비슷한 표현이 있다”며 “불교와 달리 제사상에 전을 올리지 않는 것이 유가의 예법”이라고 말했다.
음식 장만을 도맡는 여성들이 제사나 차례 예식에 참석하지 않는 관행도 전통 예법과 거리가 멀다. 가례집람과 사례편람 등에 따르면 남녀가 제례에 함께 참여해 술을 올리고 절 하는 것이 예법에 맞다.
기제사에서는 조상에게 올리는 석 잔의 술 가운데 첫 잔은 장남이, 두 번째 잔은 맏며느리가 올린다. 술을 한 잔만 올리는 명절 차례에서는 장남이 술잔을 올리면 삽시정저(숟가락을 밥그릇 중앙에 꽂고 젓가락을 바로 놓는 것)를 하는 것은 맏며느리 몫이었다.
박광영 부장은 “술잔을 올릴 때 잔을 향 위에서 돌리기도 하지만, 어떤 예서에도 이런 내용은 없다”며 “이는 전통 예법과 맞지 않는 잘못된 관행”이라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