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권혁철 교수 입장 감안
사진=카카오톡 홈페이지
카카오는 지난 17일 블로그를 통해 “다음 맞춤법 검사기는 그동안 확보한 검색 쿼리 및 사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체 구축한 것이며, 권 교수의 맞춤법 검사기 웹 페이지를 리버스 엔지니어링 방식으로 분석해 개발한 것은 아님을 권 교수에게 전화로 연락했다”고 밝혔다. 이어 “권 교수는 이에 대해 양쪽 서비스를 비교해보면 서로의 해석이 다를 수 있다고 했다”면서 “API를 공개할 경우 한글 맞춤법 검사기 개발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권 교수의 우려를 받아들여 다음 맞춤법 검사기 API 공개를 중단하기로 권 교수와 협의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에앞서 권 교수는 지난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네이버 및 다음이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를 리버스 엔지니어링으로 훔치는 바람에 저희랑 계약하려던 일부 업체가 다음이 공개한 API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편 카카오는 개방과 공유라는 서비스 철학을 기반으로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 API 서비스를 꾸준히 확대해왔다. 카카오는 2014년 7월부터 자체적으로 맞춤법 검사기 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현재 다음검색, 어학사전, 브런치에 활용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