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한 삐침, 또렷한 광택

생생한 삐침, 또렷한 광택

입력 2012-01-14 00:00
수정 2012-01-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선말 대가 ‘소호와 해강의 난죽’ 展

난과 죽이 또렷하다. 난의 삐침이 마지막까지 살아서 기운을 내뿜고, 굵직한 대나무들은 껍질의 광택 느낌까지 살아 있다. 고서화라면 세월의 때와 습기 탓에 대개 종이 바탕이 누렇고 먹색도 흐릿한데 그렇지 않다.
해강의 ‘풍죽도’(風竹圖). 소호의 ‘석란도’(石蘭圖).
해강의 ‘풍죽도’(風竹圖). 소호의 ‘석란도’(石蘭圖).


2월 19일까지 서울 종로구 소격동 학고재갤러리에서 열리는 ‘소호와 해강의 난죽’전에 나온 34점의 난과 죽이다. 생생해 보이는 이유는 소호 김응원(1855~1921), 해강 김규진(1868~1933)의 작품이라서다. 구한말 작품이다 보니 조선후기 작품에 비해 눈에 확 들어온다.

소호는 묵란(墨蘭)으로 유명했다. 1911년 근대미술학원인 서화미술회 강습소가 마련되자 나아가 가르칠 정도였다. 흥선대원군에게 청탁이 들어온 난을 대신 그려 주기도 했다는 얘기가 전하기도 한다. 대신 스타일은 좀 달랐다. 대원군이 왕가의 일원으로서 다소 묵직하게 그렸다면, 소호는 가늘고 단아한 느낌을 잘 살렸다. 대원군의 난은 석파란, 소호의 난은 ‘소호란’이라고 불렸다. 글씨도 잘 썼다. 그림 옆에다 쓴 글씨 말고 따로 글씨만 쓴 작품도 함께 전시해 뒀는데, 그림도 그림이지만 그림 같은 글씨가 눈길을 끈다.

해강은 대나무의 대가다. 처음부터 끝까지 대나무만 그렸다. 해서 다양한 대나무 그림을 남겼다. 굵은 통죽(筒竹)은 물론 풍죽(風竹)도 눈길을 끈다. 바람 부는 순간 바람에 저항하면서도 적당히 받아 넘기는 대나무의 느낌이 고스란히 살아 있다. 그의 대나무 그림은 워낙 유명해서 이응로 등 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해강은 영친왕에게 서법(書法)을 가르칠 정도로 서예에도 능했다. 사진술을 도입해 천연당사진관을 개업한 것도 그다.

고미술에 일가견이 있는 우찬규 갤러리 대표의 소장품들이다. 일본에서 틈나는 대로 수집해 왔다. 당대의 대가다 보니 일본인들에게 주문받아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서 일본에 많이 남아 있다고 한다. 우 대표는 “시대적, 역사적 혼란기였기 때문에 이 시기 작가들의 작품들이 제대로 조명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늘 아쉬웠다.”면서 “정작 일본에서는 소장자들이 정중하게 보관하고 있어서 놀라웠다.”고 말했다. 해서 “매년 한 차례 정도는 이들 근대 초입 작가들에게 집중해 보는 전시를 마련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02)720-1524.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1-1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