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명 녹차밭 5곳서 얻는 위로
두 납자가 조주선사를 찾았다. 선사가 한 납자에게 물었다. “이곳에 와 본 적이 있는가?” “없습니다.” “차나 한 잔 마시게.” 또 다른 납자에게 물었다.“자네는?” “있습니다.” “차나 한 잔 마시게.” 옆에 있던 원주가 묻는다. “왜 온 적이 있든 없든 차 한잔하라고 하십니까?” 선사는 물끄러미 원주를 바라보고는 “자네도 차나 한 잔 마시게.”중국 당나라의 선승 조주선사의 끽다거(喫茶去)다. 심오한 의미의 선문답이라 하는데, 장삼이사들이야 그저 이들이 음미한 차의 맛이 궁금할 뿐이다. 계절은 이제 우전(곡우 전에 나오는 차)을 지나 세작(참새 혓바닥이란 뜻의 찻잎)으로 가는 중이다. 말 그대로 차나 한 잔 마시러 갈 때다.
경남 하동 야생차밭.
지리산 바위 틈에서 자란 야생의 향
경남 하동은 우리나라 차의 시배지(始培地)로 알려진 곳이다. 푸른 융단을 깔아 놓은 듯 야생차 재배지가 지리산 자락 여기저기에 넓게 펼쳐져 있다. 산비탈, 바위 틈에서 자라 자연스런 멋이 일품이다. 요즘은 세작이 한창 출하되는 시기다. 한국 최고(最古)라는 ‘천년차나무’가 있는 정금리 도심마을을 비롯, 지리산에 기댄 마을마다 여린 찻잎을 따는 일손들로 분주하다. 화개면 등을 중심으로 한 하동 지역은 전남 보성권, 제주권 등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차 생산 권역을 이룬다. 다른 지역에 견줘 재배면적은 넓어도 찻잎 생산량은 적다. 대량생산보다 가내 수작업 형태의 고급 잎차 생산에 치중하고 있다는 뜻이다. ‘명산에 명차 난다’는 말이 있듯 지리산 화개 지역은 따뜻한 공기와 강수량, 일조량 등 ‘명차’가 날 수 있는 여러 여건들을 갖췄다. 쌍계사에서 화개장터에 이르는 계곡에 찻집들이 많다. 대를 이어 온 덖음법을 자랑하는 집들이다. 짙은 숲그늘 아래에서 차 한 잔 홀짝이는 재미가 각별하다.
전남 보성 녹차밭 전경.
산자락 위 부드러운 곡선미로 유혹
전남 보성의 대한다원과 봇재다원은 한국의 차밭 하면 가장 먼저 머리에 떠오를 만큼 이름난 곳이다. 산자락 경사진 곳에 인위적으로 가꾼 차밭의 부드러운 곡선미가 일품이다. 그 덕에 남도의 차밭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영화, 드라마 등의 촬영장으로 쓰인다. 수많은 사진작가들의 단골 출사지이기도 하다. 특히 이른 아침 대한다원 초입의 삼나무 숲에 내리꽂히는 햇살은 눈부실 정도로 아름답다. 보성 역시 토양과 습도, 일조량 등에서 최적의 차 재배지로 꼽힌다. 하동 등의 야생차들이 덖음차라면 보성 등에서는 주로 찜차인 증제차를 낸다. 한국차문화공원 내 차제조공방에서 다양한 차를 맛볼 수 있다. 다향각에서도 차를 맛볼 수 있다. 굽이치는 차밭의 곡선을 굽어볼 수 있는 곳이다. 봇재 넘어 율포 가는 길에 있다. 예전엔 축제 등 대부분의 행사가 다향각 일대에서 열렸지만 요즘은 한국차문화공원으로 옮겨 진행되고 있다. 한결 여유 있게 차밭을 돌아볼 수 있을 듯하다.
전남 영암 덕진차밭.
월출산 굽어보며 마주한 초록 융단
전남 영암 덕진차밭도 인위적으로 조성된 차밭이다. 월출산을 한눈에 굽어볼 수 있는 수려한 경관 덕에 요즘 촬영 명소로 급부상하고 있다. 월출산 등 영암 인근에는 예부터 형성된 야생차밭이 드문드문 펼쳐져 있다. 하지만 규모가 큰 차밭은 덕진차밭이 유일하다. 덕진차밭은 월출산이 마주 보이는 백룡산 자락에 터를 잡았다. 크기는 약 17만㎡(5만평) 정도. 한국제다에서 1979년 조성한 곳으로 재래종 차가 90%, 나머지는 외래종들로 이뤄졌다. 역사가 제법 깊은 차밭이다. 세월이 더께로 쌓인 선암마을 돌담길을 돌아 야트막한 차밭 꼭대기에 서면 월출산의 자태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월출산 왼편에서 떠오른 아침해가 녹차밭 사면을 조금씩 비추면서 초록빛 융단을 깔아 놓은 듯한 인상적인 풍경을 펼쳐 낸다. 그야말로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전남 강진 월남차밭.
수줍은 모습 드러낸 ‘비밀의 정원’
월출산을 두고 영암과 마주한 전남 강진에도 차밭이 있다. 이른바 월남 차밭이다. 월출산 남쪽 자락의 성전면 월남사지와 무위사를 잇는 2차선 도로 변에 넓게 펼쳐져 있다. 월남 차밭 역시 인위적으로 조성됐다. 겉모습이야 이름난 차밭들에 견주기 어렵지만, 그래도 바다 가까운 구릉에서 차밭의 푸름을 만나 눈을 씻는다는 건 정말 생각지 못한 횡재다. 차밭 바로 옆에는 유서 깊은 정원이 숨어 있다. 옛 선비들이 즐겨 찾아 더위를 식혔다던 백운동 별서정원이다. 강진 사람들에게조차 최근에 알려지기 시작했다는 ‘비밀의 정원’이다. 백운동 별서정원만으로도 월남 차밭을 찾을 이유는 충분하다. 백운동 별서정원은 정문보다 후문을 통해 드는 게 더 운치 있다. 드넓은 차밭을 지나 오래된 동백들이 드리운 짙은 숲그늘을 지나면 계곡 한가운데 세월이 더께로 내려앉은 듯한 별서정원과 만난다.
제주 도순다원.
한라산과 어우러진 서정적 풍경
제주 도순다원은 초록빛 녹차밭과 한라산이 멋들어지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곳이다. 사실 제주에서 가장 이름난 차밭은 서광다원이다. 오설록녹차박물관 등 볼거리가 풍성하고 규모 역시 압도적이다. 하지만 서정적인 풍경이라면 도순다원에 한 수 양보해야 한다. 차밭 사이 고샅길에 서서 팔을 뻗으면 한라산 부악이 손에 잡힐 듯하고, 멀리 발 아래로는 물비늘 반짝이는 서귀포 앞바다가 두 눈에 가득 찬다. 그 고운 자태 속에 서 있으면 가슴에서 날 선 긴장이 가뭇없이 사라진다. 입 끝에는 잔잔한 미소가 걸린다. 초록이 주는 위안이다. 차밭은 서귀포 도순동에 있다. 찾아가기가 다소 까다롭다. 중산간에 있어 진입로 폭이 좁은 만큼 운전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05-1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