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플러스] ‘욕심을 완전히 버리는 것이 가능한가?’

[인터뷰 플러스] ‘욕심을 완전히 버리는 것이 가능한가?’

입력 2017-05-30 17:26
수정 2017-05-31 0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강선원 주지 혜거 스님

도심 대중 깨우쳐 온 혜거 스님, 시대의 고민에 답하다

30년 가까이 도심에서 불경과 참선을 가르치며 대중의 마음을 열어 온 금강선원(서울 강남구 개포동, www.geumgang.org) 주지 혜거 스님은 “연꽃이 있는 곳을 지나간 물은 깨끗해진다. 또 연꽃은 인격의 완성으로, 성불의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혜거 스님은 20세기 한국 불교의 최고 스님으로 추앙받는 탄허 스님의 상좌로 그 뜻을 이어받아 경전공부와 참선을 통한 수행과 실천을 강조해 왔다. “종교는 세상과 더불어 존재하는 것”이라며 사회와 단절된 수행을 경계하는 스님의 말씀에서 그 뜻이 묻어났다. 혜거 스님에게 우리 시대의 질문에 대한 말씀을 구했다. 대담 기록으로 그 지혜를 지면에 옮긴다.
혜거 스님
혜거 스님
→도심에서 경전과 참선 대중화에 앞장서 오셨는데, 선(禪)이란 무엇입니까.

-선이란 무심(無心)으로 가는 길입니다. 여기서 무심이란 사람의 근본 마음을 없애는 것이 아니고, 마음작용이 자기 위주로 일어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내 마음을 비우고 상대방 마음으로 하나 되는 것, 그것이 선입니다. 내가 먹은 마음이 있으면 아무리 양보를 한다고 해도 상대방과 마찰이 생깁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추구하는 것은 있어야 하지 않습니까? 자기 마음을 내려놓는 것, 욕심을 완전히 버리는 것이 가능한가요.

-우리는 욕심과 원을 혼동합니다. 욕심은 버리고 원은 더 크게 가져야 합니다. 사실 사람은 태어나면서 죽는 것까지 전부 욕심으로 살아요. 욕심이 빠져버리면 살 방법이 없지요. 그런데 욕심을 갖다 보니까 업이 되어버립니다. 그래서 업이 되는 욕심을 버리고 원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즐겁게 하고 싶은 일들이 있어야 합니다. 욕심이 일어날 때 선으로써 내 마음을 버리고 복이 되는 원으로 전환하는 겁니다.

→과거보다 물질은 풍요로워졌지만 정신적으로 빈곤해지고 있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스님께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우리가 상대적인 비교를 버려야 합니다. 중국에 머물 때, 어떤 학생이 굉장히 좋은 차를 타고 통학하는 걸 본 적이 있어요. 수행원들이 가방까지 챙겨주고, 매일 같이 그렇게 다니더군요. 그런 모습에 아예 신경 쓰지 않는 중국 학생들을 봤습니다. 남을 쳐다보지 않는 거죠. 우리가 남을 너무 의식을 하니까 상대적인 박탈감, 빈곤감이 들어요. 남을 보기보다 나를 살피는 것이 더 중요한데 우리는 자꾸 남과 비교를 해요.

→그러한 비교 때문인지 재물 욕심이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많은 문제가 됩니다. 탐심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그것이 사실 종교가 할 일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불교나 기독교를 막론하고 종교가 잘못된 기복신앙을 가르쳤어요. 세계가 다 그랬습니다. 운동선수가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려고 하면 기도를 해야 합니까 훈련을 해야 합니까. 지금까지의 종교는 기도를 하고 있었던 거예요. 그러나 복을 비는 종교는 존재해선 안 돼요. 수행하고 실천하는 종교가 되어야 합니다. 수행이 인격으로 이어지고, 아는 것을 실천해야 합니다. 지금과 같은 종교는 미래엔 유지되지 않을 겁니다. 욕심을 가지고 깨달음을 찾으면 깨달음의 문턱도 구경 못 합니다.

→정치와 종교는 대중의 고통을 줄여주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오히려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종교도 사회에 대해서 배척하는 종교관을 빨리 버려야 합니다. 교리니 뭐니 다 소용없어요. 상대를 배척하지 말아야 합니다. 네 종교 내 종교를 비교하고 차별하는데, 신자와 비신자를 차별하려면 종교라고 나서지도 말아야 합니다. 차별 없이 품어야 종교 아닙니까. 정치인들도 그래요. 상대방의 인격을 그대로 존중하되, 의견이 다른 부분에 있어서 뜻하는 바와 의사를 밝혀야 할 텐데 그렇지 못하잖습니까. 주장은 주장대로, 존중은 존중대로 이뤄져야 합니다. 그런 분위기를 먼저 보여야 세상이 그렇게 되거든요. 그런데 공격하는 것이 깡패보다 더하니 안타까운 일이죠.

→인간의 목표를 ‘행복’이라고 많이들 얘기합니다. 스님께서는 생각하시는 행복은 무엇입니까.

-한 사람의 행복이 모든 사람의 행복과 같아야 합니다. 한 사람이 바르게 행복하면 다른 사람도 모두 다 행복하거든요. 그러려면 부정과 결탁되지 않은 행복이어야 합니다. 정당하게 추구하는 행복이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한 사람의 행복할 때 모두가 행복합니다. 그러나 부정한 행복이라면 그것은 한 사람만 행복하고 다른 사람을 불행하게 합니다. 나만 행복하겠다는 마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위해 신발이라도 하나 옮겨주겠다는 마음으로 바꿔야 합니다.

→청소년, 청년 세대가 힘든 시대라고 합니다. 이 시대 젊은이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반드시 꿈이 있어야 합니다. 청소년기에 꿈이 없어져 버리면 성공은 불가능합니다. 꿈을 이루고자 마음먹는 순간 공부도 잘되고 건강도 좋아지고 모든 것이 이뤄집니다. 꿈이 사라지면 아무것도 안 됩니다. 그들이 꿈을 가질 수 있도록 어른들도 역할을 해야 해요. 바르게 성공하는 모습을 청소년들 젊은이들에게 보여야 합니다. 언론은 우리 사회의 작은 위인들을 발굴해 내야 합니다. 부정적인 모습보다 죽도록 열심히 해서 성공한 사례들이 나와야 청소년들이 꿈을 가질 수 있어요.

→스승이신 탄허 스님의 뜻을 이어 ‘화엄경’을 다시 정리하고 계시다고 들었습니다.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요.

-탄허 스님께서 국문으로 정리하신 화엄경이 이제 30년이 넘었습니다. 우리 언어가 30년 지나면 달라지거든요. 그래서 스님께서 미처 손 안 대셨던 부분을 조금 보완하고 정리해서 책을 내고 있습니다. 지난해 ‘화엄경소론찬요’ 1, 2권 책이 나왔고 금년에 두 권이 나옵니다. 앞으로 20편까지 계획하고 있습니다.

인류사에서 가장 위대한 사상이 화엄사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라는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고, 거기에 살고 있는 중생은 어떤 마음으로 살아야 하는지 등이 아주 구체적으로 되어있는 것이 화엄경이지요. 그게 얼마나 치밀하고 조직적으로 되어 있던지, 오늘날 지식인들에게 ‘학문은 이렇게 접근해야 한다’고 알려주는 부분이 수없이 많습니다.

정태기 객원기자 jtk3355@seoul.co.kr

2017-05-31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