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베끼진 않았다… 1960년대 한국영화의 표절과 번안

그냥 베끼진 않았다… 1960년대 한국영화의 표절과 번안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4-12-13 02:20
수정 2024-12-13 02: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표절과 번안의 영화사/정종화 지음/엘피/358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국가 주도 영화 정책이 이어지고 김기덕·유현목·김수용 같은 거장들이 많은 영화를 만들어 내면서 1960년대 한국 영화는 르네상스를 맞았다. 1969년 한국 영화 제작 편수는 사상 최고인 229편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 영화 표절에 대한 비판 목소리도 거셌다. 일본 영화 시나리오를 그대로 가져와 한국식으로 바꿔 제작한 영화들은 ‘저급한 작가정신이 빚어낸 국적 불명의 표절물’로 취급받았다.

한국 영화사 연구자인 저자는 당시 한국 영화가 일본 영화의 ‘텍스트’를 표절해 이를 한국식 ‘영상’으로 바꾸는 과정,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가미한 독창성에 주목했다. 예컨대 김기덕 감독의 1964년 작 ‘맨발의 청춘’은 1963년 2월 일본에서 개봉한 ‘진흙투성이의 순정’ 각본을 그대로 가져왔다. 이 과정에서 소설 원작자 후지와라 신지에게 영화화 허락을 받지 않고, 영화 각색자인 바바 마사루의 승인을 받은 뒤 마치 원작자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포장했다.

그러나 두 영화는 쇼트 분할, 화면 구성 등에서 전혀 다른 방식으로 연출됐다. 트위스트 김의 캐릭터를 돋보이게 만들려는 장면도 넣었다. ‘새롭게, 뭐든지 새롭게 가자’를 내세운 김 감독과 제작진의 의도가 곳곳에 들어 있다.

저자는 이를 당시 한국 영화가 미국 등 외국영화와 경쟁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고민하고, 흥행 판도를 개척한 노력으로 설명한다. 일본 영화 시나리오를 표절하고 비공식적으로 번안하면서 동시에 제작의 ‘효율화’를 추구했다는 의미다.

특히 이러한 노력에 대해 1960년대 중반 한국 사회가 품었던 근대 서구에 대한 욕망을 일본을 통해 받아들이고 풀어낸 것으로 분석했다. 그렇기에 ‘맨발의 청춘’과 같은 영화를 그저 표절작으로 치부하고, 그 뒤에 가려진 표절의 메커니즘과 정황, 사회상을 정교하게 고찰하지 않으면 당대 한국 사회를 피상적으로 파악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항변한다. 역설적이긴 하나 당시 표절, 그리고 번안의 과정은 지금 한국 영화의 밑거름이 될 수도 있었다고 강조한다.
2024-12-1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