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너의 역사
설혜심 지음/휴머니스트
672쪽/3만 8000원
고대 그리스·로마부터 20세기까지매너의 변천사 일목요연하게 다뤄
배려·예의범절 사라지는 요즘 세태
지금도 통하는 지침·조언 숨어 있어
영국 왕 찰스 2세의 정부였던 캐슬메인 백작부인이자 클리블랜드 공작부인 바버라 빌리어스(1640~1709). 왕의 총애를 업고 사치를 일삼으며 정치에 개입해 부패를 초래했기 때문에 ‘음탕한 여자’의 대명사로 묘사됐다.
휴머니스트 제공
휴머니스트 제공
액션 첩보영화 ‘킹스맨’을 보지 않은 사람이라도 “Manners maketh man”(매너가 사람을 만든다)이라는 대사는 한 번쯤 들어 봤을 것이다. 14세기 영국 신학자이자 교육자인 위컴의 윌리엄이 한 말로, ‘예의범절’로 번역되는 매너를 지킬 때만 비로소 사람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의미다. 많은 사람이 서양에는 오래전부터 매너가 정착됐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중세 이전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왕이나 귀족들도 손으로 음식을 먹고 아무 데나 침을 뱉는 모습이 등장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말하는 매너는 언제부터 시작돼 확산했을까.
국내 대표 문화사학자인 설혜심 연세대 사학과 교수가 이번에는 ‘매너’라는 주제에 현미경을 들이댔다. 매너의 기원과 의미를 다룬 대표적인 책이라고 하면 독일 사회학자 노르베르트 엘리아스의 ‘문명화과정’(1935)이 있다. 엘리아스의 책은 중세 말부터 르네상스 시기를 주로 다뤘지만, 이 책은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부터 20세기까지 말까지 방대한 시기를 본다. 사실상 인류사 전체를 살펴보는 만큼 저자는 서구의 에티켓북, 처세서, 행동 지침서, 편지, 매뉴얼 등 예법서 100여권을 꼼꼼히 분석했다고 한다.
19세기에는 자선 방문이 늘어나면서 빈민을 방문할 때 지켜야 할 조언이나 빈민들에게 전할 성경 구절을 담은 에티켓북이 등장했다.
휴머니스트 제공
휴머니스트 제공
책 제목만 봐서는 고리타분하거나 황당한 옛날 예법 이야기만 다뤄 지루할 것 같지만 지금도 통하는 지침과 조언이 곳곳에 숨어 있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18~19세기는 특정 상황에서의 에티켓들에 대한 지침이 등장했던 그야말로 ‘매너의 전파기’다. 1875년 출판업자인 새뮤얼 비튼(1831~1877)은 ‘에티켓의 모든 것’이라는 책을 내놨는데 이 중 ‘쇼핑 에티켓’은 특히 재미있다. 비튼은 가게를 찾는 손님 중 ‘무례한 남성 손님’에 대해 언급했다. 남성 손님 중에는 바깥에서는 막대기로 맞을까 봐 두려워 절대 하지 못할 말들을 어린 직원에게 지껄이는 자들이 있는데, 그들은 “단언컨대 배워 먹지 못한 자들”이며 “시시한 바보”라고 일갈했다. 밖에서는 한없이 교양 있고 점잖은 척하다가 식당이나 상점에 들어가서는 반말지거리를 하는 사람이 요즘도 흔하다는 점을 생각하고 비튼의 훈계를 읽다 보면 나도 모르게 킥킥거릴 수밖에 없다.
1902년 조지 5세의 왕세자 시절 모습. 빅토리아 시대에 접어들면서 책임감 있고 절제할 줄 아는 ‘영국 신사’라는 남성상이 등장했다.
휴머니스트 제공
휴머니스트 제공
설 교수는 “오늘날 에티켓 규칙들은 단순해졌지만, 원론적 규범들은 여전히 중요하고 수많은 사람과 교류해야 하는 상황이기에 더 필요하다”며 “사회 엘리트의 전유물에서 벗어나 모두에게 적용되는 매너의 의미와 역할은 더 중요해진 측면이 있다”고 강조한다. 예의 바름과 품격으로 사람을 구별 짓는 가치와 효용은 여전하다는 말이다.
매너도 유행이 있고 변한다지만 분명 많은 사람이 좋은 것이라고 받아들이는 매너가 있기 마련이다.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는 개한테나 갖다줘 버린 사람들이 흔해 빠진 요즘은 앞뒤 꽉 막힌 것처럼 예의범절을 강조하는 딸깍발이 선비가 오히려 그리워진다. 책을 읽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저지른 비매너가 생각나 얼굴이 붉어질지도 모를 일이다.
2024-10-25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