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이상 ‘물’로 보면 안 돼… 어떻게 위기를 극복할까

더이상 ‘물’로 보면 안 돼… 어떻게 위기를 극복할까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9-20 02:42
수정 2024-09-20 02: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물의 세 시대/피터 글릭 지음/물경제연구원 옮김/세종연구원/488쪽/2만 3000원

이미지 확대


지구 표면의 70 %, 인체의 60 ~70%를 이루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물’이다. 한때 ‘돈을 물 쓰듯 한다’는 말처럼 물은 흔해 빠진 것의 대명사였다. 그렇지만 지구온난화로 물 부족 현상이 심해지면서 물을 둘러싼 문제가 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물이 다이아몬드만큼 귀해지는 세상이 되고 있다.

이 책은 경제사상가 제러미 리프킨이 최근 출간한 ‘플래닛 아쿠아’의 주장과 결을 같이하고 있지만 서술 방식은 차이가 있다. 저자 피터 글릭은 세계적인 물 연구자로 역사적 측면에서 물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야기한다. 그는 인더스 계곡, 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 양쯔강 등 인류 초기 문명이 형성됐을 때부터 과학·산업 혁명기를 거쳐 물을 펑펑 써대는 현재,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시대까지 인류 역사를 세 시대로 나눠 물이 역사적으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본다.

첫 번째 물의 시대에는 농업의 보급으로 인류는 정착 생활을 하면서 초보적 댐과 수로를 건설하고 관개 시설을 개발했다. 두 번째 물의 시대에는 거대한 규모의 댐을 건설해 홍수를 막고 물을 저장하고 전기를 생산해 사용했다. 수천㎞에 이르는 수로를 건설하고, 폐수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폭넓게 활용되면서 비로소 현대 문명이 구축될 수 있었다.

문제는 지구의 수자원이 영원할 것처럼 물을 사용하고 통제했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해 이런 시대는 과거의 일이 됐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현재는 세 번째 물의 시대로 넘어가는 시기이며, 이때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암울한 미래로 빠져들지, 지속 가능하고 정의로운 세상으로 전환될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기후변화로 수자원이 부족한 세 번째 물의 시대에는 회수돼 재처리된 물이 소중한 자산이고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물 공급원”이라고 강조한다. 세 번째 물의 시대를 제대로 맞을 수 있는 기술은 모두 준비됐다. 문제는 세계적인 물 부족 현상을 두고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장애물을 어떻게 극복하느냐다. 결단과 행동이 늦을수록 인류에게 남는 것은 파멸일 뿐임을 깨닫게 하는 책이다.
2024-09-20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