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함은 왜 아들을 내놨나…인간 시점으로 풀어쓴 창세기

아브라함은 왜 아들을 내놨나…인간 시점으로 풀어쓴 창세기

이슬기 기자
입력 2020-11-12 17:54
수정 2020-11-13 0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학 전공 이승우 작가 연작 소설집
사랑 멈출 수 없는 인간의 본질 탐구

이미지 확대
연작 소설집 ‘사랑이 한 일’을 출간한 소설가 이승우. 신학을 전공한 작가는 ‘창세기’를 인간 시점으로 풀어낸 소설들로 사랑이란 무엇인지 묻는다. 문학동네
연작 소설집 ‘사랑이 한 일’을 출간한 소설가 이승우. 신학을 전공한 작가는 ‘창세기’를 인간 시점으로 풀어낸 소설들로 사랑이란 무엇인지 묻는다.
문학동네
사랑이 한 일/이승우 지음/문학동네/248쪽/1만 4000원

‘그것은 사랑 때문에 일어난 일이다.’ 연작 소설집 ‘사랑이 한 일’의 표제작의 각 챕터 서두는 모두 같은 문장으로 시작된다. 아버지 아브라함에 의해 신에게 바쳐질 뻔한 이삭이 아버지 내면의 목소리를 짐작하며 하는 말이다. ‘아버지는 그렇게 말하지 않았지만, 그 문장을 담은 아버지의 목소리는 내 안에서 생생하게 울린다.’(102쪽) 아버지가 하지도 않은 말을, 아버지 덕에 죽을 뻔한 ‘나’는 듣고서 그의 심중을 이해한다. 왜일까.
이미지 확대
‘사랑이 한 일’은 종교적이고 관념적인 통찰을 이어 온 이승우 작가의 연작 소설집이다. 신학을 전공한 그는 이번 소설집에서 ‘창세기’를 인간의 시점으로 다시 읽고 다시 썼다. 이야기의 중심에는 아브라함이 있다. 책은 이삭을 제물로 바치는 아브라함의 이야기를 다룬 표제작 ‘사랑이 한 일’을 한가운데 두고 시간순으로 앞뒤에 두 편씩 더 배치했다. 자기 딸을 불량배들에게 내주는 소돔성의 롯 이야기인 ‘소돔의 하룻밤’, 아들 이스마엘과 함께 부당하게 내쫓기는 하갈을 그린 ‘하갈의 노래’가 앞에 있고, 이삭이 느끼는 기묘한 허기와 그의 쌍둥이 아들 야곱과 에서를 향한 편애에 대한 소설적 해설이라 할 수 있는 ‘허기와 탐식’, ‘야곱의 사다리’가 뒤에 놓였다.

아들을 제물로 바치라는 신과 이에 순응하는 아버지 아브라함은 성경을 읽는 독자들을 갸웃하게 한다. 작가도 같은 의문에서 성경 다시 읽기를 시작했다. 그는 이삭의 입을 빌려 말한다. ‘사랑하는 무엇이나 누구만이, 오직 사랑만이 바쳐질 수 있다. 바치기가 어려운 것은 그 때문이다. 사랑하지 않을 때는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는 일이 사랑하면 어렵게도 할 수 없게 된다.’(100쪽)

이쯤 되면 ‘사랑이 죄’라는 말이 목 끝까지 치미는데, 끊임없이 인간의 뜻을 시험하는 것이 신의 본령이며 그 도저한 뜻을 매번 가늠하는 것이 인간의 숙명이라고 생각하면 무력해진다. 또한 사랑을 멈출 수 없는 것도 인간의 본질이다. 말로 나오지도 않은 아버지의 마음을 끊임없이 헤아리는 일은 사랑이 없이는 불가하기 때문이다.

이어지는 작품 ‘허기와 탐식’에 이르면 나이 든 이삭이 아들 둘 가운데 맏아들 에서만 편애한 이유가 이해가 간다. 이삭에게 신의 제물이 될 뻔한 경험은 평생의 트라우마다. 반면 자신이 어릴 때 쫓겨났다던 이복형 이스마엘이 잡아 준 들짐승의 살, 형을 연상시키는 사냥꾼 에서의 풍모는 또 다른 위안이다. 이삭은 에서에게 가부장의 권리를 주려고 하지만, 아버지의 판단력이 흐려진 것을 틈탄 둘째 아들 야곱의 계략으로 실패한다. 신의 사랑에서 시작된 일이 인간의 편애를 낳아 인간사는 어지러워졌다. 사실 신도 편애를 한 것과 다름없지만.

작가는 마지막에 ‘소설 쓰기가 일종의 패러프레이즈라는 생각을 한다’고 적었다. 성경 속 아주 짧은 이야기를, 지금까지는 듣지 못했던 이들의 발화를 통해 헤아리는 것이 ‘사랑이 한 일’의 일이다. 변증법적으로 촘촘하게 얽힌 논리적인 문장들은, 단문에 많은 뜻을 담고 있지만 어렵지는 않다. 이것이 다른 장르가 아닌, 철저한 텍스트 기반의 소설이 할 수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문장의 맛에 목말랐던 이들에게 단비 같은 작품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11-1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