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민 없는 세상은 정의로울 수 없다

연민 없는 세상은 정의로울 수 없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9-10-17 17:26
수정 2019-10-18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의로운 사회 구현 열쇠로 ‘정치적 사랑’ 제시… “엄격한 규범보다 공적 문화의 핵심은 공감·연민”

정치적 감정/마사 누스바움 지음/박용준 옮김/글항아리/684쪽/3만 2000원
이미지 확대
지난 2009년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재개관 기념 첫 작품으로 무대에 오른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프랑스 봉건주의에서 민주주의로의 이행을 그린 이 작품에서 백작 부인은 엄격한 규범에 앞서 유연하게 포용하는 자세로 새로운 체제 조성을 이끈 인물로 묘사된다. 서울신문 DB
지난 2009년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재개관 기념 첫 작품으로 무대에 오른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프랑스 봉건주의에서 민주주의로의 이행을 그린 이 작품에서 백작 부인은 엄격한 규범에 앞서 유연하게 포용하는 자세로 새로운 체제 조성을 이끈 인물로 묘사된다.
서울신문 DB
‘누구나 차별 없이 행복하게 사는 세상’, 그런 세상을 흔히 ‘정의로운 사회’라 부른다. 인간은 유사 이래로 끊임없이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그 완전한 이상향은 아직 세워지지 않고 있다. 오히려 거꾸로 가는 상황이다. 그 역주행의 근본 원인은 개개인의 사적 이익과 뿌리깊은 편견이다. 인간은 정의로운 사회를 영영 만들 수 없을까.

미국의 저명한 법철학자 겸 정치철학자인 마사 누스바움 시카고대 에른스트 프룬드 법윤리학 종신교수가 쓴 책 ‘정치적 감정’은 그 정의로운 사회를 앞당길 해법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 핵심 요인은 바로 사랑, 특히 정치적 사랑이다. 새로울 게 없는 뻔한 이야기로 들릴 터이지만 구체적인 수단·방법이 흥미롭다. 끊임없이 예술의 힘과 상징성, 황홀감을 인정하라고 외친다.

저자는 먼저 사회적 불행을 초래하는 극단적 입장 두 개를 지적한다. 하나는 훌륭한 정치적 원칙들을 뒷받침하는 애국심이나 여타 감정들의 함양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태도이고, 다른 하나는 불화나 비판을 허용하지 않는 독재적이고 강제적인 방식으로 감정을 함양하는 방식이다. 지나치게 독단적인 방식으로 감정의 동질성을 추구했던 장 자크 루소나 오귀스트 콩트보다는 풍부한 감정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도 비판 정신과 자유를 지지한 존 스튜어트 밀이나 타고르 쪽에 가까워 보인다.
이미지 확대
그 입장대로 저자는 시와 음악, 동서양의 다양한 고전 텍스트를 넘나들며 사랑과 동정, 연민의 공감력을 끝까지 주장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강조한 건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1786)이다. 책도 ‘고통과 광기와 어리석음의 나날들-오직 사랑만이 행복과 기쁨을 가져다주리니’라는 ‘피가로의 결혼’ 대사로 시작한다. 프랑스 혁명에서 핵심역할을 했던 보마르셰의 연극에 바탕을 둔 ‘피가로의 결혼’은 봉건주의에서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그린 작품이다. 저자는 이 작품 속 백작부인을 증오보다는 포용으로 세상을 바꾼 ‘정치적 사랑’의 핵심 열쇠로 주목한다. 앙시앵레짐의 권위적인 목소리를 대변했던 남편과 달리 부인은 동정을 구하는 요청에 ‘좋아요’라고 말하며 새로운 체제를 위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인간 존재의 허약함에 대해 보이는 동정적이고 너그러운 태도가 공적 문화의 핵심이다.’ 저자는 타인의 불행에 눈감지 말고 따뜻한 연민을 품자고 거듭 외친다. 소포클레스의 비극 ‘필록테테스’ 속 필록테테스는 동정과 연민을 받아야 할 대표적 상징으로 소개된다. 이 작품은 자신의 잘못보다는 우발적 사건에 얽매여 고통과 굶주림에 빠진 필록테테스에게 잘못이 없음을 끊임없이 밝힌다. 결국 누구나 똑같은 고통에 빠질 수 있는 만큼 가련한 필록테테스에게 따뜻한 연민을 품자는 것이다.

책을 읽다 보면 이런 의문을 갖게 된다. ‘시민들의 아량, 연민, 공정한 마음이 먼저일까, 아니면 법제도의 확립이 우선일까.’ 저자는 “대중의 노력과 정서적 뒷받침 없이는 좋은 법이 나타나기 어렵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기도 어렵다”고 잘라 말한다. 이 대목에서 차별금지법을 통과시키기에 앞서 ‘사회적 인종 간의 조화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던 한나 아렌트의 관점을 오류라고 비판한다.

‘진짜 사랑이 없어도 사랑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라.’ 영국 소설가 아이리스 머독이 소설에 등장시킨 ‘며느리에 화가 난 시어머니’는 그 미담의 대표적 교훈이다. 당돌하고 저속한 며느리를 사랑하지 않으면서도 공평한 감정으로 보려는 노력을 통해 마침내 성공한 시어머니의 사례에 얹어 강조한 ‘애국심’의 중요성도 빼놓지 않고 있다.

“애국심은 타인에 대한 희생을 포함해 소중한 것들을 위한 버팀목이 될 수 있다”는 저자는 한국어판 서문에 뼈 있는 메시지를 남겼다. “한국은 몇 년 전 국정교과서를 만들려는 시도를 했고 당시 대통령은 ‘올바른 역사 교과서를 통해 우리 아이들에게 대한민국의 자부심과 정통성을 심어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조국에 대한 사랑의 감정은 진실성과 비판의 자유라는 서로 양립 가능한 개념을 필요로 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9-10-18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