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니스트 박사의 사적인 서재] 돌아갈 방법은 없다, 낯선 것에 대한 혐오 멈출 때

[칼럼니스트 박사의 사적인 서재] 돌아갈 방법은 없다, 낯선 것에 대한 혐오 멈출 때

입력 2019-03-21 17:36
수정 2019-03-22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나와 타자들/이졸데 카림 지음/이승희 옮김/민음사/308쪽/1만 6000원

변화의 현장에서 변화를 목도하는 이는 복이 있나니, 그는 역사의 현장에 참여하고 있다는 실감과 함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힘을 얻는다. 그러나 사실 지금의 많은 이들은 변화의 급류를 타면서도 제가 타고 있는 것이 용인지 새끼줄인지 알지 못한다. 저자는 말한다. “이 붕괴는 한순간에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슬금슬금 일어나는 과정이었다. 과정이 완성된 이후에야 깨달을 수 있다. 사람들은 자기 자신이 다른 존재가 될 때조차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 그 변화가 베를린 장벽 붕괴만큼 거대했음에도, 눈치채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자는 자신이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한 줄로 요약한다. “여기에서 변화란 다원화를 의미한다. 다원화라는 사건은 그저 벌어졌다. 어느 날 사람들은 새로운 세계에서 새로운 인격체로 깨어났다.”

책은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고 그저 불편하고 혼란스러울 뿐인 이들에게, 무엇이 변화했고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려 준다. 주변의 세계가 붕괴되고 있다는 막연한 불안에 시달리는 이들에게, 우리가 믿었던 동질사회가 얼마나 잘 기능하는 허구였는지, 최근의 20~30년 동안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짚어 보여 준다.

낯선 이들, 즉 ‘타자’들은 이미 우리 곁에서 살고 있다. ‘그들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이 잦아지는 만큼이나,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도 빈번해진다. 이제 안정적이고 든든한 자리는 없다. 자신의 정체성이 불안해진 이들은 타자를 혐오하는 방식으로 불안을 해소하려 한다. 울타리를 치고, 장벽을 세우고, 철조망을 치려 한다. 그렇지만 저자는 단호하게 말한다. “돌아갈 방법은 없다.”

문제가 보인다면, 변화가 감지되었다면 남는 질문은 “무엇을 할 것인가?”이다. 하지만 저자는 명쾌한 답을 주는 대신 질문에조차 질문하기를 요구한다. 저 질문은 다양한 위기에 대한 처방전을 찾는 질문이자 대안을 요구하는 질문인데, 그렇다면 지금 ‘해답’이 있고 ‘구체적인 방법’이 있는가? 헛된 희망이다! 실제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는 사람이 있는가? 저자는 그 ‘사람’으로 지목돼 왔던 이들의 이름을 나열한다. 오바마, 버니 샌더스, 마르틴 슐츠, 마크롱…. 과대 선전이다! 저자는 사람이 아니라 공간을 이야기한다. 타자에 대한 적대감을 온라인이나 머릿속에서 양산하고 증폭시키는 것을 멈추고, 서로를 직접 만날 수 있는 오프라인의 공적 공간. 무엇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게 되었다면 우리의 행보 또한 바뀌게 되리라. 질문부터 바꾸자.

2019-03-22 3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