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집 ‘오직 두 사람’ 펴낸 김영하
“과거엔 남들이 안 하는 걸 실험해 보고 정치적 흐름과는 떨어져 있었어요. 귀걸이도 하고 클럽도 가고 옷도 난해하게 입었죠. 하지만 해외를 떠돌며 소수 언어권 작가로 살다 보니 새로운 감각을 남보다 먼저 경험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더군요. 나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떤 문제로 고통받고 무엇을 소망하는가가 더 중요해졌죠. 그렇게 ‘진짜 감정’을 표현하면서 막혔던 기혈이 뚫렸달까요.”올해 등단 23년째인 김영하 작가는 “늙어 보일 것 같아 20주년 행사를 하지 않았다”며 장난기 있게 웃으면서도 “등단이 화려하진 않았지만 지금까지 낸 책들이 거의 다 살아 있고 꾸준히 중쇄를 찍고 있어 작가로서 축복받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학동네 제공
문학동네 제공
“뉴욕타임스 국제판에 칼럼을 쓰던 2014년 4월 ‘이 사건 이후의 대한민국은 그 이전과 완전히 다른 나라가 될 것’이라고 썼었죠. 7년간 쓴 일곱 편의 중단편을 묶어 보니 세월호 참사를 기점으로 제 삶도 둘로 나뉘었더라고요.”
그러나 세월호 참사 이후 초고를 발전시킨 ‘아이를 찾습니다’(2014)와 이후 쓰인 ‘인생의 원점’, ‘신의 장난’, ‘오직 두 사람’에서는 위트는 거세되고 필사적으로 견디는 사람들만 남는다. ‘아이를 찾습니다’는 11년 전 유괴당한 아이를 되찾으면서 펼쳐지는 새로운 무간지옥을, ‘신의 장난’은 입사 채용 시험으로 ‘방 탈출 게임’에 던져진 청년들이 더 끔찍한 구렁텅이에 빠지는 아이러니를 그렸다.
“인간이 예기치 않은 일을 겪는 존재임을 보여 주고 싶었어요. 우리는 언제나 세상이 예상대로 움직이길 바라잖아요. 하지만 부모가 죽는다거나 오래 사귀었던 사람과 멀어질 때 준비할 수 있는 건 수많은 이야기를 읽었기 때문이죠. 모든 사건에 ‘플랜B’를 마련하진 못하니까요. 요즘 사람들은 밤에 집에 돌아오면 알 수 없는 불안과 혼돈 속에서 잠들어요. 소설은, 예술은 삶에 균열이 나고 균형이 무너지면 이를 회복하려 애쓰는 인간의 투쟁을 통해 우리가 겪는 고통이 어떤 것인지 보여 주고, 자신의 문제를 돌아보게 만들고 내적인 힘을 길러 줍니다.”
세월호 참사가 작가를 침잠하게 했다면 지난해 촛불시위는 희망과 치유를 안겼다. 그 역시 여덟 번의 촛불시위에 참여해 광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포털 뉴스 댓글을 보고 있으면 끔찍해요. 정치적 의견이 다르다는 이유로 상대를 저주하고 세월호 유족들에게 ‘시체팔이 한다’고 하죠. 그걸 보다 보면 ‘여기가 지옥인데 모르고 사나’, ‘내가 언제 죽었나’ 싶어요. 2년 전 저희 집이 있는 연희동 개나리언덕 재개발로 크레인이 들어오고 나무가 뿌리 뽑히면서 ‘많은 사람이 고통을 겪고 있다’는 걸 깨달았어요. 집으로 억울한 일을 당하는 사람들을 초청해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행사도 했죠. 이번에 광장에 나가서도 그런 얘기를 들으면서 배운 것과 다른 현실이 펼쳐짐에도 자제력을 가지고 시위에 참여하는 청년들, 섬세하게 조율되는 시위 과정 등을 보며 희망을 봤고 저 역시 치유를 경험했죠. 다음 작품엔 그런 얘기가 쓰일지도 모르겠네요(웃음).”
작가는 이번 소설집의 가장 최근작인 ‘오직 두 사람’에서 김영하표 소설의 다음 행보를 엿볼 수 있다고 귀띔했다. “요즘 미래학 책, 4차 산업혁명 등 시대 변화를 조망하는 책들을 보고 있어요. 그런 거시적 변화가 개인의 삶에 들어오는 거거든요. 우리 시대 문제에 관심이 커진 만큼 다양한 인물이 각자의 처지에서 분투하는 장편을 구상 중입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5-3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