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작가 1호’ 김정애씨의 아픈 기억
“북한에선 자기가 원하는 글을 쓰지 못해요. 당에서 정해 주는 글만 쓸 수 있고, 그것도 당 정책이나 김일성 일가 우상화로 종결돼야만 해요. 제 글을 쓰고 싶었어요.”탈북 작가 김정애씨
2003년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중국으로 탈북해 2년 뒤 한국에 왔다. 북한에선 ‘작가동맹소조’에서 5년간 글쓰기 교육을 받았다. 작가동맹소조는 김일성 일가 우상화에 동원될 작가를 양성하는 곳이다. 김씨는 “남북 문학의 가장 큰 차이는 표현의 자유”라고 했다. “작가동맹소조에선 김일성 일가의 나팔수 노릇을 했습니다. 주민들은 굶어 죽는데도 ‘붉은 기를 끝까지 지켜야 한다’ ‘장군님 따라서 승리할 때까지 고난의 행군을 해야 한다’는 식의 글을 썼습니다. 쓸 게 딱 정해져 있는 거죠.”
작가동맹소조에서 활동하던 어느 날, 딸이 쌀밥을 한번만이라도 배불리 먹고 싶다고 했다. 돌이켜 보니 16년간 딸을 키우면서 단 한 번도 쌀밥을 배불리 먹인 적이 없었다. 당의 정치적 도구로 전락할 게 아니라 엄마 역할을 먼저 해야겠다는 자각이 들었다. 아이를 살려야겠다는 일념으로 탈북했다. 그 경험을 토대로 쓴 게 단편소설 ‘밥’이다. 이 작품으로 지난해 11월 한국소설가협회의 제41회 한국소설 신인상을 받으며 탈북 작가 가운데 최초로 한국 문단에 발을 들여놨다. 그는 “탈북하면서 북한 실상을 다루는 글을 써야겠다고 마음먹었다”며 “밥을 넘어서는 정치적 이념은 있을 수 없다”고 했다.
한국에 온 뒤 자유북한방송국에서 기자로 일하며 틈틈이 책을 읽고 습작했다.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북한의 사회주의와 인권 실상을 다룬 소설을 여러 편 썼다. 요즘은 북한 여성들의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다. “남한에 와 보니 남북 여성이 처한 현실이 극과 극이었어요. 북한 여성들은 사회나 가정에서 일은 일대로 하면서도 그 위치가 없어요. 반면 남한 여성들은 사회적으로도 가정적으로도 그 위치를 인정받고 정계에도 진출하고 있더군요. 여성 인권이 잘 보장돼 있습니다.”
내년에 단편소설 10편을 묶어 첫 소설집을 내려 한다. “탈북자들이 한국에서 작가로 활동하는 건 무척 어렵습니다. 생계 문제 등 현실적인 장벽이 많아요.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탈북 작가들이 나올 수 있도록 문학적 소양을 쌓을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됐으면 합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5-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