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권력의 종말] 니코 멜레 지음/이은경·유지연 옮김/알에이치코리아/368쪽/1만
정보기술(IT) 미래학자가 디지털 시대에 급부상한 새 권력의 속성에 대해 정부와 기업, 정당, 언론, 엔터테인먼트 등 사회 전 분야와 연결지어 고찰한 사회비평서다. 디지털 시대의 ‘급진적 연결성’(방대한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끊임없이 전 세계로 보낼 수 있는 능력)이 어떻게 전통적인 권력기관들을 급격히 흔들고 있는지, 또 디지털 시대에 득세한 신흥 권벌들이 어떻게 우리 사회를 바꿔놓을 것인가에 대한 담론을 담고 있다.결론부터 말하자. 책은 ‘디지털 신기술들이 이룰 미래는 밝을까?’라는 물음에 대해 ‘꼭 그렇지만은 않을 걸?’ 수준의 비관적 답변을 내놓고 있다.
책이 짚고 있는 모든 논의의 기저엔 혁신적 신기술도 좋지만 그로 인한 기존 권력의 붕괴가 뜻밖에 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예컨대 언론이 그렇다. 디지털 신기술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전통적인 매체를 통해 뉴스를 접하는 사람은 40%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저자의 분석이 아니더라도 언론산업은 급격한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동시에 정치, 경제 등 사회 전반의 거대 권력들을 상대로 이뤄져야할 다양한 탐사보도 등이 급격히 약화되는 부작용도 낳고 있다.
이런 역할을 다양한 소셜미디어들이 대신해야 할 텐데, 저자는 “새롭게 등장한 (언론)매체들이 감시자로서의 역량을 갖추도록 주의 깊게 살피지 않는다면 (기존)거대 언론의 종말은 민주제도의 부패와 타락하고 부도덕한 선동가의 등장을 막지 못하는 사용자 생성 ‘뉴스’의 홍수로 이어질 것”이라며 우려를 감추지 못한다.
거대 권력의 종말은 거대한 기회다. 단 이를 실천하려는 노력이 먼저 전제돼야 한다. 저자는 디지털 시대의 새 가치관 정립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을 여섯 가지로 나눠 제시하고 있다. 첫째, 새로이 세워질 기관들은 비계층적이고 분권화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 각 계층의 리더들에게 사려 깊고 해박한 리더십을 요구해야 한다. 셋째, 네트워크로 이어진 개인들의 힘과 방향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미래의 기관은 중앙집중형 모델 대신 개인들의 막강한 힘과 연결을 활용하는 새 모델을 채택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 공동체를 강화하고 재구성해야 한다. 여섯째, 페이스북과 구글, 트위터, 네이버 등 거대한 플랫폼을 통제해 그들 스스로 ‘디지털 광장을 제공하는 시민의 역할’을 다하도록 책임감을 일깨워 줘야 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3-06-22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