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승효상 지음/컬처그라퍼 펴냄
건축가가 여행을 하고 책을 냈다. 그런데 여행에 관한 얘기는 한 줄도 없다. 오로지 여행지의 건축물에 담긴 건축가의 뜻과 철학을 헤아리는 일에만 골몰하고 있다. 건축물 순례 에세이,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승효상 지음, 컬처그라퍼 펴냄)이다.그런데 건축가는 왜 여행을 해야 하는가. 저자는 이렇게 답한다. “건축이 땅에 새기는 삶의 기록임을 아는 한 이 땅에 새겨진 수많은 기록들을 봐야만 한다. 건축 설계라는 것은 우리 삶을 조직하는 일이며 건축은 어디까지나 삶에 관한 이야기다. 삶의 실체를 그려야 하는 건축가에게 가장 유효한 건축 공부 방법이 바로 여행”이라고.
책을 열면 맨 먼저 가톨릭 사제로 보이는 이가 너른 복도를 혼자 걸어가는 사진이 나온다. 그런데 그곳이 어딘지, 걷는 이는 누구이며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아무 설명이 없다. 대체 사진에서 뭘 찾아야 하는 건지 독자는 고민스럽다. 이는 이후 전개될 책의 복선처럼 보인다.
저자가 첫 여행지이자 건축물로 소개한 곳은 서울 종묘다. 그는 ‘동양의 파르테논’ 운운하며 외관의 장중함에만 함몰되려는 독자들의 등줄기에 매서운 죽비를 내리꽂는다. 그보다는 정전 앞의 빈 공간이 주는 비물질(非物質)의 아름다움을 봐야 한다는 것이다. 물신의 망령들이 어른대는 서울에서 우리의 전통 공간 개념인 ‘비움의 미학’을 잃지 않고 있는 곳이 종묘이기 때문이다. 이쯤 되면 그가 말하려는 게 뭔지 조금씩 윤곽이 잡힌다. 물신에 억류된, 영혼 없는 건축물로 가득 찬 세계가 그는 싫은 거다.
저자는 어렸을 때 일곱 가구가 마당을 공유하는 집에서 살았다. 당연히 “마당의 아침은 매일 북새통이었고 해 질 녘엔 저녁 짓는 냄새와 웃음이 늘 마당을 메웠”다. 그런데 그 마당이 늘 붐볐던 건 아니다. 곧잘 비워지기도 했다. 그럴 때면 마당은 “햇살과 빗줄기를 시시때때로 받았”다. 비웠으되 되레 충만한 세계, 마당이란 공간이 그의 건축 여정에 똬리를 틀게 된 건 필경 이때부터였을 거다.
그의 사유는 국내외를 넘나든다. 삶의 향기를 품은 창덕궁 기오헌을 지나 공간의 지혜를 보여준 금호동 달동네를 거쳐 성서적 풍경의 스웨덴 우드랜드 공동묘지까지, 수없이 많은 건축물 사이를 오간다. 그 와중에 그가 줄곧 강조하는 게 마당이다. 마당이야말로 삶과 우리가 존재하는 곳이라는 것이다.
책은 박노해 시인이 쓴 동명의 시와 제목이 같다. ‘아름다워지기 위해서는 오래 묵어야 한다.’는 정서도 공유한다. 단, 전제는 있다. 박 시인의 시구처럼 “오랜 시간을 순명하며 살아 나온 것, 시류를 거슬러 정직하게 낡아진 것, 낡아짐으로 꾸준히 새로워지는 것”이어야 한다. 1만 38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2-11-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