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정동극장 제공
“하고 말고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야. 이건 내 의무야!”
세상은 전쟁이 한창이다. 배우들도 징집돼 공연을 위해 필요한 최소 인원도 부족하다. 당장 연극 한 편 올리는 것보다 중요한 게 많을 것 같은데 반드시 무대에 서야 한다고 우긴다. 사태 파악도 안 되고 고집부리는 배우의 모습이 참 비현실적이다.
서울 중구 국립정동극장에 연극 ‘더 드레서’가 2020년 초연, 2021년 재연을 거쳐 올해 다시 올라왔다. 그런데 그사이에 연극이 설정하는 세계가 현실이 됐다. 2022년부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2023년부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전쟁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작품은 20세기 후반 최고의 연극 중 하나로 평가받는 로널드 하우드의 ‘더 드레서’를 원작으로 한다.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1942년 영국의 한 지방극장에서 ‘리어왕’ 공연을 앞두고 인생 막바지에 다다른 ‘선생님’과 그와 오랫동안 함께한 의상 담당자 ‘노먼’의 이야기를 그렸다. 배우들이 전쟁터로 끌려가고 공연 5분 전에 공습경보가 울리는 비현실적인 풍경이 지금 세상 어딘가에서 벌어지는 상황이라 마냥 가상의 이야기로만 다가오지는 않는다.
국립정동극장 제공
217번째 서는 ‘리어왕’ 공연이지만 노쇠한 배우는 ‘프랑스 왕과 버건디 공을 모셔오게’라는 자기 배역(리어왕)의 첫 대사마저 가물가물하다. 공연을 취소하자는 단원들의 제안에 배우는 무대에 설 의무를 강조하며 연극을 진행한다. 배우가 연극 무대에 서기까지의 과정과 무대 밖에서의 모습, 그런 배우를 의상 담당자 이상의 헌신과 노력으로 보필하는 노먼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펼쳐진다.
‘더 드레서’는 배우들의 연기로 온전히 끌고 가는 작품이다. 우선 선생님 역의 송승환 역이 존재감이 남다르다. 연기를 못 하는 연기를 해야 하는데 그게 너무 자연스러워서 진짜인지 착각이 들 정도다. 작품 속 세계는 비극적이지만 그 비극적인 상황을 유머로 승화시키는 배우들의 연기력에 웃느라 정신이 없다.
이야기의 전개에 맞게 자유자재로 변형되는 무대 역시 돋보인다. 관객들이 보는 장면이 무대 정면이 되기도 하고 후면이 되기도 하는데 덕분에 대단히 입체적으로 다가온다. 인물 간의 관계 역시 무대만큼이나 입체적이어서 인간의 다양한 면모와 삶의 복잡성이 밀도 있게 표현됐다.
국립정동극장 제공
시대를 조금 반영해서 보면 공연을 둘러싼 사람들의 모습이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준다. 전쟁통에 예술이 다 무슨 소용인가 싶지만 그래도 인간다운 삶을 위해 예술은 필요하다는 사실, 무너져가는 현실에서 자신을 지키고 누군가에 대한 의무를 다하기 위해 무대에 오르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이 먹먹하게 다가온다. 누군가에겐 작품 속에서가 아닌 현실에서의 비극이어서 더 그렇다.
무거운 이야기를 내려두고 ‘더 드레서’의 매력을 꼽자면 무엇보다 재밌다는 점이다. 쉴 틈 없는 유머와 긴장감이 관객들이 공연을 위해 투자한 시간이 아깝지 않게 한다. 이번 공연은 3일까지지만 다시 또 돌아와도 손색없을 작품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