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행복한 사람들 제공
치매에 걸린 부모님과의 시간이 그렇다. 평생 나를 기억해준 엄마, 아빠가 언젠가부터 나를 모르고 나에 대한 기억을 잃어버리는 그때가 진정한 헤어짐의 순간이다. 3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미마지아트센터 물빛극장에서 공연을 마친 극단 행복한 사람들의 10주년 기념 연극 ‘나를 잊지 말아요’는 마음이 미어지는 그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70대 노인 금옥은 홀로 치매에 걸린 남편 병관을 돌보며 살아간다. 병관은 고장 난 구식 라디오를 켜겠다고 끙끙대다 금옥이 물을 가지러 간 사이 집을 나간다. 당황한 금옥은 딸 경희에게 전화를 걸어 도움을 청하지만 경희는 자기가 알아서 할 테니 기다리라고 한다. 금옥은 경희가 치매에 걸린 아버지가 사라지길 바란다고 오해하고 미친 듯이 경희에게 욕설을 퍼붓는다.
그런 금옥 앞에 3년간 집에 오지 않았던 아들 경수가 나타난다. 엄마가 왜 화를 내는지 몰라 경수가 당황하는 사이 이웃집 여자 수연이 찾아온다. 수연은 경수에게 실은 엄마가 치매에 걸렸다고 알려준다.
병관은 사실 1년 전에 죽었다. 그러나 치매에 걸린 금옥에게 병관은 여전히 살아있는 남편이다. 자꾸만 기억을 왜곡한 채 살아가는 엄마를 보는 경수는 답답할 뿐이다. 안 그래도 먹고 살기 힘든데 치매에 걸린 엄마까지 모시고 살아가는 남매의 삶이 참 고단하다. ‘나를 잊지 말아요’는 치매 걸린 엄마를 모시느라 자녀들의 자존감이 처참하게 무너지는 과정을, 엄마가 죽어야만 그 불행이 끝나고 마는 아픈 서사를 사실적으로 그렸다.
공연이 끝나고 무대인사하는 배우들. 류재민 기자
이제 더는 자신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엄마는 낯선 사람이지만 딸 수연은 엄마 안에 여전히 진짜 엄마가 있을 거라 믿는다. 비록 늙고 치매에 걸려 의식이 불분명한 상태여도 수연은 엄마가 하고 싶은 말이 있을 거라 굳게 확신한다. 수연의 믿음대로 금옥의 영혼은 힘들어하는 아들을 보고 “엄마가 어떻게 보고만 있느냐”고 애가 끓지만 그 간절한 한마디가 현실의 자식들에게 닿지 못하는 장면은 너무나 아프게 다가온다.
부모님이 늙고 치매에 걸리면 예전 같은 보통의 하루가 사무치게 그리워진다. 연극 ‘나를 잊지 말아요’의 마지막은 엄마가 무척이나 행복하게 기억하는 네 가족의 단란한 식사 자리다. 치매 노인의 기억이 얼마나 망가지는지 비록 알 수는 없지만 작품에서는 치매에 걸린 엄마가 행복한 기억을 안고 떠날 것이란 희망을 전한다. 모시는 동안은 너무 힘들어 당장 죽었으면 싶다가도 치매에 걸렸던 부모님이 돌아가실 때는 행복한 기억만 안고 가길 바라는 자녀들의 마음이 담긴 듯하다.
비록 연극이지만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인생의 문제를 다뤄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65세 인구 10명 중 1명이 치매 환자이고 부모님이 치매에 걸리면 간병하는 자녀들의 삶까지 피폐해지는 현실에서 ‘나를 잊지 말아요’는 가족의 의미를 가슴 깊이 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