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쿠와 세계’를 연출한 사카모토 준지 감독. 엣나인필름 제공
영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운 에도 시대(1603∼1868) 말기를 배경으로 한다. 쇄국을 고수하던 일본이 서양의 압박으로 문호를 열면서 근대화에 들어서는 전환기이다. 몰락한 사무라이 가문의 외동딸 오키쿠(쿠로키 하루)와 인분을 사고파는 분뇨업자 야스케(이케마츠 소스케), 츄지(칸 이치로)의 사랑과 우정을 잔잔하게 담아낸다.
당시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세계’라는 단어가 나온다. 정부 관료였지만 몰락해버린 오키쿠의 아버지는 “하늘의 끝은 어딘지 알 수 없다. 그것이 바로 세계”라면서 사랑에 눈뜬 똥지게꾼 청년 츄지에게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이 세계에서 당신이 제일 좋다’고 해줘”라고 당부한다.
사카모토 감독은 “270년간 이어졌던 에도 시대의 말기는 개국과 함께 공포와 희망이 공존할 때였다. 과거의 세계가 닫히고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때”라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와 당시가 겹쳐 보인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자신이 그동안 만든 영화들에 대해 “절망적인 상황으로 끝나거나 주인공 죽는 영화 많았지만, 이번 영화는 가급적 희망적으로 끝내고 싶었다”고 소개했다. “코로나19 시기에 제작하지 않았다면 누군가가 똥 범벅으로 죽었을 것”이라고 웃었다.
사람에게서 나온 똥이 거름으로 사용되고, 이 거름으로 키운 채소가 다시 사람의 입으로 들어가는 ‘순환경제’가 활성화하던 때다. 사카모토 감독은 “일본에선 물건을 헛되이 쓰지 않는 문화가 있었다. 분뇨를 거름으로 쓰는 일을 비롯해 영화에서 나무통을 고쳐 쓴다든가, 종이를 다시 쓰는 등 끝까지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하는 문화를 일회용 물건이 넘치는 지금 시대에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다.
‘오키쿠와 세계’ 스틸컷. 엣나인필름 제공
분뇨는 골판지를 갈아 넣고 식용유와 여러 재료를 섞어 발효해서 만들었다. 적당한 거품을 내려 녹차 가루를 넣기도 했단다. 등장인물이 똥을 뒤집어쓰는 내용도 나오기에 식재료를 사용했다. “미술감독의 작품인데 완성도가 워낙 뛰어나 스태프들이 ‘똥의 마에스트로’, ‘똥 소믈리에’로 불렀다”고 유쾌하게 말했다.
제작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일본 유명 영화잡지 ‘키네마준보’의 97회 ‘일본 영화 베스트 10’에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괴물’과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를 제치고 1위에 올라 주목받았다.
이번 영화를 비롯해 소규모 제작비의 영화들이 일본에서 각광 받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일본의 독립영화는 메이저 영화에 비해 궁핍한 상황이다. 오히려 ‘우리가 하고 싶은 거 하자’는 마음으로, 역경 속에서 독창성을 발휘하는 창작자들 덕에 지금의 일본 영화 풍요롭게 만드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한국 영화계와 협업에 대한 질문에는 “아직 무엇을 할지 정해지지 않았다”면서도 “한국 영화인들과 공동작업에 대한 동경심이 있다”고 의사를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