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 불교조각실에 홀로 전시된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요즘 박물관이 ‘여백의 미’에 빠졌다. 유물을 하나라도 더 보여 주려는 욕심을 버리고 중요한 유물 하나만으로 공간을 채운다. 과거 특별전에서 몇 차례 실험적으로 시도했던 것이 요즘 상설전시실 개편의 유행이 된 분위기다.
국립고궁박물관 과학문화실에 놓인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지난달 23일 문을 연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청자실 전시관 중간 ‘고려비색’에는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12세기) 등 국보 5점이 넓은 여백 안에 놓인 모습을 볼 수 있다. 국보 ‘반가사유상’ 2점만으로 공간을 채워 화제가 된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이후 비슷한 배치를 종종 볼 수 있게 됐다.
유물 몇 점을 포기하게 됐지만 관람객들의 마음이 여백을 채우면서 공간의 의미는 더 살아난다. 소수의 유물에 맞춰 조명이나 디자인에 더 많이 신경을 쓴 덕에 몰입도도 높다.
불교조각실 개편을 맡은 박아연 학예연구사는 “우리의 바람과 부처가 주는 위안이 서로 닿기를 바라는 의미로 설명을 빼고 불상을 강조했다”고 했고 김충배 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장은 “각석 2점이 주는 아름다움 그 자체를 즐길 수 있도록 전시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은 “유물만을 보여 주는 단계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스토리, 조명, 공간 디자인 등도 계속 업그레이드되다 보니까 새로운 기법으로 전시하는 방향에서 하나의 트렌드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2022-12-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