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 독립 100일 맞은 TBS 이강택 대표
TBS 교통방송 독립 법인화 100일을 맞은 이강택 대표가 서울 마포구 상암동 TBS사옥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KBS PD 출신인 이 대표는 서울시 소속 사업소에서 미디어 재단 법인으로 태어난 TBS에 대해 라디오보다 약한 TV의 인지도를 강화하는 걸 숙제로 꼽았다. 그는 “‘TV민생연구소’ 등 나름 평가가 좋은 콘텐츠도 적지 않다”면서 “TV 제작과 보도 부문 역량을 강화해 전체 균형을 맞춰 가겠다”고 말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서울시 소속 사업소였던 교통방송(TBS)이 지난 2월 미디어 재단 법인으로 독립한 지 26일로 100일을 맞는다. 1990년 개국 이후 30년 만에 홀로서기의 첫발을 뗀 이강택 대표는 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TBS 사옥에서 가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내부 비효율을 줄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여 시민을 위한 공영 미디어로 자리잡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TBS는 독립 이후 조직 개편부터 팔을 걷었다. 임기제 공무원과 비정규직으로 구성된 기존 조직의 위계적인 직급 체계로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판단해서다. 이 대표는 “우선 조직을 좀더 유연하게 만드는 데 신경 쓰고 있다”면서 “전체 인원의 3분의1이 관리직인데 한 직급을 없애 이들이 현장에서 일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조직의 적응을 위해 기존에 없던 직무교육, 리더십 교육과 함께 ‘대표와의 대화’를 월 1회 마련했다.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재정 확보 대안 마련”뉴미디어 등 큰 틀의 계획을 짜는 전략기획실도 신설했다. 이승훈 전 EBS 콘텐츠사업본부장과 박대용 전 뉴스타파 기자가 각각 전략기획실장과 뉴미디어 팀장으로 오는 등 외부 인력도 수혈했다. 이 대표는 “그동안 부족했던 역량을 채우면서 유튜브 구독자 급증(86만명)과 총선 개표방송 흥행으로 이어졌다”고 자평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도 큰 변화다. 재단 출범과 동시에 기존 비정규직을 대거 공개 채용해 오는 6월까지 직원 350명의 정규직화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방송사로는 처음으로 일부 작가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시민의 방송을 내걸고 공공성을 지향하려면 내부 차별부터 없애는게 옳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실험’에는 재정이 필수요소다. 500억원 규모의 예산 중 80%를 서울시에서 충당해 온 TBS는 여전히 시 출연금에 의존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결정에 따라 상업광고를 통한 수익 확보도 불가능하다. 이 대표는 서울시 17개 출연기관과의 협력 사업, 시민 제작 프로그램 확대 등을 대안으로 보고 있다. 최근 세종문화회관의 온라인 공연 ‘힘내라 콘서트’를 편성한 게 대표적이다. 좋은 방송에 시민들이 구독료를 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게 목표다.
“단일 프로그램 대신 채널 수준의 다양성 확보”
TBS 간판 프로그램 ‘김어준의 뉴스공장’. 이 대표는 “’뉴스공장’ 쏠림을 완화할 새로운 시사프로그램을 조만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TBS 홈페이지
TBS 홈페이지
진행자 김어준씨의 출연료가 너무 많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의 기여도나 시장 평가에 비해 많은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면서 “수신료를 받는 다른 공영방송 역시 높은 출연료를 지출하는데 김씨 사례가 부각되는 것은 과잉 상징”이라고 반박했다.
다만 “‘뉴스공장’ 쏠림을 완화할 ‘준킬러 콘텐츠’의 필요성을 느낀다”며 올가을이나 늦어도 연내에 새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을 선보이겠다고 했다. 그는 “기존 매체가 담지 못하는 지역성과 시민 참여에 TBS만의 자리가 있다”며 “미디어 시장에 긍정적 변화를 자극하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