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틀린 우정, 아득한 내전의 포성, 블랙 코미디의 참맛 이런 거구나

뒤틀린 우정, 아득한 내전의 포성, 블랙 코미디의 참맛 이런 거구나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3-16 04:53
수정 2023-03-16 04: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5일 개봉 ‘이니셰린의 밴시‘ 각본과 연출, 연기 모두 빼어나

이미지 확대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아니, 다 큰 남정네들이 왜 이러지? 싶었다. 뭘 이런 시시껄렁한 얘기를 영화로 다 만들지? 싶기도 했다.

매일 오후 2시면 펍에서 맥줏잔을 기울이며 시시콜콜 얘기를 나누던 파우릭(콜린 패럴)은 콜름(브렌던 글리슨)으로부터 절교 선언을 듣는다. 콜름은 “그냥 이제 자네가 싫어졌어”라고 말한다. 파우릭은 절대 납득하지 못하고,

파우릭은 혹시 자신의 말실수 때문인지, 아니면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돌아보고 또 돌아본다. 아일랜드 본토로부터 떨어진 이 섬에 일상은 세월 가는 것을 모르는 듯하다. 절교를 통보받은 날이 만우절이었던 것을 뒤늦게 안 파우릭은 만우절 장난인가 싶기도 하다.파우릭은 우리네 ‘전원일기’의 어떤 캐릭터를 연상시킨다.

누이가 해주는 밥 얻어먹으면서도 고마운줄 모르고 맨날 싸우며 펍에서 흑맥주 마시며 노닥거리는 것이 일상이다. 마을에서는 그저 착한 사람 소리를 듣는 편이다. 미니어처 당나귀 제니가 추워 한다며 집안에 자꾸 들이려 한다.
이미지 확대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왜 삐쳤냐고 한 번만 더 귀찮게 묻거나 따지면 콜름은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보내겠다며 으름장을 놓는다.

15일 개봉한 아일랜드 영화 ‘이니셰린의 밴시’는 콜름이 정말 손가락 하나를 잘라 파우릭 집의 문에 던지는 장면이 나오는, 대략 시작한 지 50분쯤 전까지 관객들에게 ‘이걸 왜 내가 보고 있지’ 되뇌이게 만든다. 그러다 관객들은 콜름의 손가락이 문에 둔탁하게 떨어지는 순간, 아득하게 들려왔던 포성, 다시 말해 본토의 내전 얘기를, 앞서 달력의 1923년을 왜 보여줬는지 충격적으로 일러준다.

이해와 소통의 부재로 뒤틀린 우정이 파국으로 치닫는 과정은 전쟁의 그것과 닮아 있는데, 각본을 쓰고 연출한 마틴 맥도나 감독은“두 친구의 절교와 아일랜드 내전의 분열에는 우화적인 측면이 있다”고 했다.

커다란 체구로 금방 파도 속으로 뛰어들 것처럼 백사장에 서서 바다를 노려보는 콜름은 바이올린 노래를 만들려 그렇게 애쓰면서도 파우릭과의 의미없는 수다가 싫어졌다는 이유 만으로 자신의 손가락을 자른다.

인간을 향한 다정함이 무엇보다 소중하다는 파우릭과 그런 것은 사라질 뿐이며 오직 음악과 그림, 시 만이 남는다는 콜름은 내전을 벌이는 이들만큼이나 거리가 있어 보인다. 예술가와 대중의 간극을 얘기하는 것도 같다.

누이가 떠나 외로움에 떠는 파우릭을 차갑게 밀쳐내며 완성한 곡을 파우릭의 장례식에서 연주해도 되는지 아무렇지 않게 묻는 콜름은 예술이 극단의 대립이 왕왕 빚어지는 현실에서 뭘 할 수 있는지 묻는 감독의 질문 같다.
이미지 확대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제주도를 닮은 듯 고립된 아름다움 속 황량한 풍광에 두 사람의 얘기를, 약간 우스꽝스러우면서도 기괴한 듯한 느낌의 마을 사람들이 희극과 비극을 오가며 펼치는 얘기들은 인생의 참맛만큼이나 달콤쌉싸래하다. 아일랜드 촌뜨기들의 마을에 스며든 괴짜 예술가가 인생의 단맛 쓴맛을 다 보여주는 느낌이랄까? 영어와 또 다른 아일랜드말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해하며 본다면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기도 하다.

며칠 전 미국 아카데미(오스카) 9개 부문에 후보로 지명됐지만 한 부문도 수상하지 못했는데 아일랜드란 이유, 언어 문제, 블랙코미디란 장르 특성 때문이 아닐까 짐작해본다.

‘오스카 낙방’에도 이 영화는 꼭 봐야 할 이유가 차고 넘쳤다. 각본과 연기가 뛰어나다. 패럴이 남우주연상 후보로 올랐는데 맥도나 감독과는 ‘킬러들의 도시’(2008)와 ‘세븐 싸이코패스’(2012)에 이어 세 번째 호흡을 맞췄다. 글리슨은 ‘킬러들의 도시’ 이후 두 번째로 감독과 작업했는데 패럴은 한심한 촌뜨기 역할을 완벽히 소화했고, 남우조연상 후보였던 글리슨도 패럴 못지 않게 스크린을 압도했다.

여우조연상 후보였던 캐리 콘돈도 ‘쓰리 빌보드’(2018)에서 맥도나 감독과 연을 맺었는데 한심한 오빠를 걱정하며 자신의 삶을 찾아 떠나는 누이 시오반을 훌륭히 소화했다. 늘 쫓기고 안절부절 못하는 도미닉 역의 배리 케오건도 드라마의 힘을 살려내 글리슨과 나란히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는데 둘 다 수상하지 못했다.

아일랜드 서부 해안의 이니시모어 섬에서 촬영했다는 것을 엔딩 크레딧으로 확인했다. 파우릭과 시오반 오누이 집만 전신주나 포장도로 같은 현대적 요소가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짓고 촬영했다. 오누이 집과 콜름의 집은 캐릭터의 특성에 맞게 색칠했다는데 건성으로 봤던 점이 후회된다.

아 참, 오스카 시상식에 등장해 빼어난 연기력을 과시한 미니어처 당나귀 제니를 비롯해 말과 콜름의 보더콜리 반려견, 고양이 등의 열연도 빠뜨리면 안되겠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