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제주도 여자 어른들이 시집 올 때 혼례복으로 입었던 장옷을 잘 보관했다가 수의로 입었다는 얘기가 전해온다. 바로 그 뜻을 의미하는 ‘시집올 때 입어난 장옷 죽엉 가멍도 입곡’(사진)이란 제목의 자료집이 나왔다. 제주학연구센터가 최근 펴냈다.
이 자료집은 제주의 전통 옷과 관련된 일을 했거나 전통 방식의 의생활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바농질와치’(바느질꾼)를 중심으로 총18회 조사를 실시하고 20여 시간의 내용을 제주어로 전사해 정리했다.
조사 대상은 90대 3명, 80대 9명, 70대 이하 8명 등 모두 20명이다. 조사 지역은 서귀포시 하원동, 안덕면 창천리, 표선면 성읍리, 조천읍 와흘리, 한림읍 귀덕리 등 10개 지역이다.
조사 내용은 옷감의 종류, 옷감 만드는 과정, 갈옷, 물옷, 혼례복, 상복, 수의, 신발과 모자 등에 대한 것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한 후 녹음 자료를 한글로 전사했다. 조사는 온전한 제주의 전통 의생활 문화와 제주어 어휘를 이끌어 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소멸 위기의 제주어 보전에 앞장서온 제주학연구센터는 2019년에는 ‘제주의 전통 초가’ 관련 조사, 2020년 ‘목축 문화’ 관련 조사를 진행했으며 지난해에는 제주 전통 옷에 대한 조사를 통해 그 내용을 구술자료집으로 정리했다.
김미진 전문연구위원은 “이 구술 자료집이 제주의 전통 옷 연구자에게 기초 자료 제공은 물론이고 도민들에게 제주 옷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면서 “이번에 조사된 옷 관련 어휘와 용례 등은 제주어대사전 발간에도 기여할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한편 이 자료집은 제주학연구센터 누리집 제주학아카이브에서 피디에프(PDF) 파일로 내려받아 볼 수 있다.
이 자료집은 제주의 전통 옷과 관련된 일을 했거나 전통 방식의 의생활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바농질와치’(바느질꾼)를 중심으로 총18회 조사를 실시하고 20여 시간의 내용을 제주어로 전사해 정리했다.
조사 대상은 90대 3명, 80대 9명, 70대 이하 8명 등 모두 20명이다. 조사 지역은 서귀포시 하원동, 안덕면 창천리, 표선면 성읍리, 조천읍 와흘리, 한림읍 귀덕리 등 10개 지역이다.
조사 내용은 옷감의 종류, 옷감 만드는 과정, 갈옷, 물옷, 혼례복, 상복, 수의, 신발과 모자 등에 대한 것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한 후 녹음 자료를 한글로 전사했다. 조사는 온전한 제주의 전통 의생활 문화와 제주어 어휘를 이끌어 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소멸 위기의 제주어 보전에 앞장서온 제주학연구센터는 2019년에는 ‘제주의 전통 초가’ 관련 조사, 2020년 ‘목축 문화’ 관련 조사를 진행했으며 지난해에는 제주 전통 옷에 대한 조사를 통해 그 내용을 구술자료집으로 정리했다.
김미진 전문연구위원은 “이 구술 자료집이 제주의 전통 옷 연구자에게 기초 자료 제공은 물론이고 도민들에게 제주 옷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면서 “이번에 조사된 옷 관련 어휘와 용례 등은 제주어대사전 발간에도 기여할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한편 이 자료집은 제주학연구센터 누리집 제주학아카이브에서 피디에프(PDF) 파일로 내려받아 볼 수 있다.
제주학연구센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