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사진이 아니라, 이제야 만나는 ‘오늘’의 사진

‘어제’의 사진이 아니라, 이제야 만나는 ‘오늘’의 사진

입력 2018-08-20 11:25
수정 2018-08-20 1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미경의 사진 산문]

이미지 확대
임종진 북녘 사진전 사는 것이 다 똑같디오’. 류가헌갤러리.
임종진 북녘 사진전 사는 것이 다 똑같디오’. 류가헌갤러리.
갓 결혼식을 올린 신부가 상기된 얼굴로 카메라를 바라본다. 젊은 연인이 손을 잡은 채 강변을 걷고, 가방끈을 비스듬히 맨 여자아이가 아빠 손을 잡고 계단을 내려간다.

어디에나 있을법한 흔한 광경이다. 다만 다른 것은, 신랑신부가 걷고 있는 강변이 대동강변이고 닿을락 말락 손을 잡은 연인들은 평양의 대학생들이라는 점이다. 아이 손을 잡고 계단을 내려가는 아빠는 군복 차림의 ‘북한군’이다. 이 사진 이미지들은 우리가 그동안 생각했던 북한의 ‘이미지’를 뒤흔든다.

북녘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을 찍은 사진 110여 점이 전시중인, 북녘 사진전 ‘사는 것이 다 똑같디오’.

사진을 찍은 이는 임종진이다. 그는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사진기자의 자격으로 여섯 차례에 걸쳐 북녘 땅을 밟았다. 당시가 남북 정상회담 등으로 인해 평화로운 분위기였다고는 해도, 북은 사진에 민감했다고 한다. 그런데 임종진은 처음부터 “나는, 우리가 서로 공감할 만한 무엇을 찍고 싶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이질적이거나 낙후된 북한의 좋지 않은 이미지들만이 보도되던 시절이었다. 평양의 일상과 그 속에 담긴 ‘우리네, 우리 것’을 사진에 담으려는 그에게 유례없이 자유로운 촬영 허가가 떨어졌다. 평양 시내 곳곳을 별다른 제지 없이 다니며, 정치나 이념에 의해 삭제되거나 왜곡되지 않은 그들의 민낯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그는 고무줄 놀이하는 아이들, 장을 보는 어머니, 자전거에 아이를 태우고 가는 아버지 등 특별할 것 없는 모습들에 취해 ‘카메라가 춤을 추었다’고 회고한다. 그동안 볼 수 없었던 북녘 동포들의 일상을 따뜻하고 섬세한 시선으로 담아낸 수백 점의 사진이 이렇게 해서 얻어졌다. 사진마다 이미 우리는 잃어버린 듯 한 어떤 정서와 순정한 빛이 가득하다.

사진가는 두 번째 방북 때 북측 안내원들로부터 “왜 우리 늠름한 장교 동무를 동네 아저씨처럼 찍었느냐”는 투정과 웃음 섞인 항의를 받았다고 한다. 후에 자신들의 삶을 ‘민족적 입장에서 바라본 사진� ?�, “김정일 위원장이 남녘 사진기자로서는 유일하게 림선생의 이름을 기억한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기도 했다.

20년 전 평양의 일상을 담은 이 사진들은 시간의 개념을 뛰어 넘어 남과 북 사이 가로놓인 ‘닫힌 정서의 길’을 열어준다. 그런 점에서 ‘어제의 사진’이 아니라 이제야 만나는 ‘오늘의 사진’이다. 가려져서 보지 못했던 것을 보여주고 왜곡된 인상들을 바꾸는 데서 더 나아가 미래지향적인 한반도를 꿈꾸는 지금의 시점에서 남과 북, 서로를 정서적으로 보다 가깝게 이을 사진들인 것이다.

8월 1일부터 열린 전시에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중이다. 임종진 북녘사진집 ‘다 똑같디오’가 전시가 열린 지 2주 만에 완판되어 2쇄를 준비하고 있고, 류가헌에서 전시도 9월 9일까지 연장되었다. 언젠가는 평양에서도 이 사진들이 전시되어지기를. 그것이 이루지 못할 ‘꿈’만은 아닌 것 같은, 2018년 여름이다.

글: 박미경 류가헌 갤러리 관장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