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이중섭(1916~1956)의 탄생 100년, 작고 60년을 기념한 ‘이중섭, 백년의 신화’전이 3일부터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다.
이중섭은 ‘국민 작가’로 1970년대 이후 폭발적인 대중의 사랑을 받아 왔지만 오랫동안 가치평가는 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됐다. 작품의 시장 거래가 반복되면서 작품가는 천문학적으로 오르고 작품은 곳곳에 흩어진 상황이다. 미술관 측은 “산발적으로 보존되고 있는 이중섭의 원작을 최대한 한자리에 모아 대중이 감상하고 연구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전시회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이 소장한 이중섭의 은지화 3점을 비롯해 삼성미술관 리움, 부암동 서울미술관 등 국내외 60개 소장처로부터 200여 점의 작품, 100여 점의 자료를 대여해 덕수궁관 4개의 전시장에서 선보인다.
이중섭은 일제강점기인 1916년 평안남도 평원에서 태어나 정주 오산고에서 서양화가 임용련을 통해 처음 미술을 배웠다. 도쿄 문화학원에서 미술 수업을 받았고 일본 전위그룹인 자유미술가협회에서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1943년 귀국해 1945년 문화학원 후배였던 야마모토 마사코와 결혼했다. 1950년 한국전쟁 중 부산과 제주도로 피란했다 생활고로 1952년 가족과 이별했다. 1956년 만 40세의 나이에 무연고자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경남 통영, 진주, 서울, 대구, 경북 왜관 등지를 전전하며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전시는 식민, 해방, 전쟁을 관통해 정처 없는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이중섭이 거쳐 간 공간을 따라 전개된다. 1부(1916~50)에서는 일본 유학기 야마모토에게 보낸 엽서화, 해방 직후 원산 시기에 제작된 연필화 등이 전시된다. 2부(1950~53)는 가난했지만 가족들과 비교적 행복하게 보내면서 남긴 작품들로 구성된다. 3부는 은지화로 꾸며졌다. 이중섭은 양담배를 싸는 종이에 입혀진 은박을 새기거나 긁고 그 위에 물감을 바른 후 닦아 내는 방식으로 일종의 드로잉을 완성했다. 그는 300점 정도의 은지화를 제작한 것으로 전해지며 이번에 40점이 진열됐다.
4부(1953~54)는 이중섭이 통영 나전칠기전습소에서 강사로 재직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에서 의욕적으로 활동을 펼친 시기의 작품들이다. 이중섭이 가족에게 보낸 편지화, 서울 시절 그린 ‘길 떠나는 가족’(1954년)과 ‘투계’(1955년) 등이 5, 6부에 이어지고 7부에선 대구 시절 시인 구상의 집에 머무르며 요양 생활을 하던 때의 작품들이 선보인다. 전시는 10월 3일까지.
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이중섭은 ‘국민 작가’로 1970년대 이후 폭발적인 대중의 사랑을 받아 왔지만 오랫동안 가치평가는 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됐다. 작품의 시장 거래가 반복되면서 작품가는 천문학적으로 오르고 작품은 곳곳에 흩어진 상황이다. 미술관 측은 “산발적으로 보존되고 있는 이중섭의 원작을 최대한 한자리에 모아 대중이 감상하고 연구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전시회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이 소장한 이중섭의 은지화 3점을 비롯해 삼성미술관 리움, 부암동 서울미술관 등 국내외 60개 소장처로부터 200여 점의 작품, 100여 점의 자료를 대여해 덕수궁관 4개의 전시장에서 선보인다.
이중섭은 일제강점기인 1916년 평안남도 평원에서 태어나 정주 오산고에서 서양화가 임용련을 통해 처음 미술을 배웠다. 도쿄 문화학원에서 미술 수업을 받았고 일본 전위그룹인 자유미술가협회에서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1943년 귀국해 1945년 문화학원 후배였던 야마모토 마사코와 결혼했다. 1950년 한국전쟁 중 부산과 제주도로 피란했다 생활고로 1952년 가족과 이별했다. 1956년 만 40세의 나이에 무연고자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경남 통영, 진주, 서울, 대구, 경북 왜관 등지를 전전하며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전시는 식민, 해방, 전쟁을 관통해 정처 없는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이중섭이 거쳐 간 공간을 따라 전개된다. 1부(1916~50)에서는 일본 유학기 야마모토에게 보낸 엽서화, 해방 직후 원산 시기에 제작된 연필화 등이 전시된다. 2부(1950~53)는 가난했지만 가족들과 비교적 행복하게 보내면서 남긴 작품들로 구성된다. 3부는 은지화로 꾸며졌다. 이중섭은 양담배를 싸는 종이에 입혀진 은박을 새기거나 긁고 그 위에 물감을 바른 후 닦아 내는 방식으로 일종의 드로잉을 완성했다. 그는 300점 정도의 은지화를 제작한 것으로 전해지며 이번에 40점이 진열됐다.
4부(1953~54)는 이중섭이 통영 나전칠기전습소에서 강사로 재직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에서 의욕적으로 활동을 펼친 시기의 작품들이다. 이중섭이 가족에게 보낸 편지화, 서울 시절 그린 ‘길 떠나는 가족’(1954년)과 ‘투계’(1955년) 등이 5, 6부에 이어지고 7부에선 대구 시절 시인 구상의 집에 머무르며 요양 생활을 하던 때의 작품들이 선보인다. 전시는 10월 3일까지.
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