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한국 상업영화의 제작비는 30억원이 표준가처럼 정해졌다. 몇 편의 블록버스터로 인해 올해 편당 평균제작비는 42억여원이 됐지만, 일반적인 상업영화의 경우엔 30억원 안팎에서 결정되는 게 보통. 문제는 이 만만치 않은 액수인 ‘제작비 30억원’의 표준화가 창의성과 다양성을 사장시킨 채 ‘상업영화의 표준화’라는 결과를 낳는다는 데 있다.
제작비 30억원을 건지려면 적어도 100만명의 관객을 모아야 한다. 그러다보니 흥행성이 떨어지는 시나리오는 기획단계에서부터 제외되거나 채택되더라도 상업성에 맞춰 ‘난도질’당한다. 제작과정에서도 대다수의 감독들은 ‘작품’보다는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감에 시달린다. 한 신인감독은 “한 번에 뜨지 않으면 감독으로서 생존이 위험하다보니 검증된 장르나 흥행요소를 끼워넣을 수밖에 없다.”면서 “좀 더 적은 제작비라면 훨씬 창의성을 살릴 수 있을 것 같다.”고 털어놓았다.
실제로 최근 한국영화의 흐름을 보면 이같은 경향이 여실히 드러난다. 얼마전 한 인터넷사이트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장 많은 네티즌들이 ‘대박 흥행 영화의 패턴 반복’을 한국영화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톡톡 튀는 고교생용 영화, 실화를 다룬 감동 드라마, 가족애를 강조하는 휴먼 드라마 등 뭐 하나가 크게 터지면 우후죽순 아류들이 줄을 잇는 건, 제작비 30억원을 건지겠다는 ‘안전 지상주의’의 발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김기덕·홍상수 감독의 영화 등 ‘30억 상업영화’의 환경에서 벗어난 영화들도 한국 영화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영화는 그 수가 적을 뿐더러, 상업영화의 거품을 뺏다기보다 감독의 지명도에 기댄 ‘저예산 예술영화’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보다는 상업영화의 제작환경에서 적은 제작비의 영화가 많이 나와야 한다. 순제작비 3억원만으로 재미와 완성도를 갖춘 영화 ‘철수♡영희’(새달 7일 개봉)의 황규덕 감독은 “100만원 수표로 딜을 하는 곳에 5000원짜리 들고 끼는 놈 취급을 하더라.”며 저예산영화는 투자조차 받기 어려운 현실을 지적했다.“순제작비 6억원에 광고·마케팅비 2억원의 영화가 제작되는 토양을 만드는 기획자가 되겠다.”는 그의 희망이 꿈으로만 그치지 않도록, 앞으로는 영화 제작·투자자들 그리고 ‘저예산영화는 재미없다.’는 관객의 인식까지 바뀌길 기대한다.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제작비 30억원을 건지려면 적어도 100만명의 관객을 모아야 한다. 그러다보니 흥행성이 떨어지는 시나리오는 기획단계에서부터 제외되거나 채택되더라도 상업성에 맞춰 ‘난도질’당한다. 제작과정에서도 대다수의 감독들은 ‘작품’보다는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감에 시달린다. 한 신인감독은 “한 번에 뜨지 않으면 감독으로서 생존이 위험하다보니 검증된 장르나 흥행요소를 끼워넣을 수밖에 없다.”면서 “좀 더 적은 제작비라면 훨씬 창의성을 살릴 수 있을 것 같다.”고 털어놓았다.
실제로 최근 한국영화의 흐름을 보면 이같은 경향이 여실히 드러난다. 얼마전 한 인터넷사이트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장 많은 네티즌들이 ‘대박 흥행 영화의 패턴 반복’을 한국영화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톡톡 튀는 고교생용 영화, 실화를 다룬 감동 드라마, 가족애를 강조하는 휴먼 드라마 등 뭐 하나가 크게 터지면 우후죽순 아류들이 줄을 잇는 건, 제작비 30억원을 건지겠다는 ‘안전 지상주의’의 발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김기덕·홍상수 감독의 영화 등 ‘30억 상업영화’의 환경에서 벗어난 영화들도 한국 영화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영화는 그 수가 적을 뿐더러, 상업영화의 거품을 뺏다기보다 감독의 지명도에 기댄 ‘저예산 예술영화’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보다는 상업영화의 제작환경에서 적은 제작비의 영화가 많이 나와야 한다. 순제작비 3억원만으로 재미와 완성도를 갖춘 영화 ‘철수♡영희’(새달 7일 개봉)의 황규덕 감독은 “100만원 수표로 딜을 하는 곳에 5000원짜리 들고 끼는 놈 취급을 하더라.”며 저예산영화는 투자조차 받기 어려운 현실을 지적했다.“순제작비 6억원에 광고·마케팅비 2억원의 영화가 제작되는 토양을 만드는 기획자가 되겠다.”는 그의 희망이 꿈으로만 그치지 않도록, 앞으로는 영화 제작·투자자들 그리고 ‘저예산영화는 재미없다.’는 관객의 인식까지 바뀌길 기대한다.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2004-12-31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