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5일 개봉하는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제작 미라신코리아)는 종전 관객을 거북하게 했던 홍상수 감독의 작품세계가 갈수록 부드러워지고 밝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강원도의 힘’‘오! 수정’같은 영화들은 일상을 파고들면서 극단의 우울하고 답답함으로 관객을 ‘고문’하는 수준이었다.그러다 4번째 작품인 ‘생활의 발견’부터 약간 누그러지고 부드러워졌다는 평을 들었는데 ‘여자는‘도 그런 변화가 느껴진다.
새달 12일부터 열리는 제57회 칸영화제 공식 경쟁부문에 진출한 이 영화는 우선 일상에 대한 시선에 갑갑함이나 옥죔보다는 재미와 웃음이 더 많아졌다.물론 홍감독이 일상에서 발견하는 웃음은 파안대소가 아니다.그저 사소한 대화나 집착에 가깝게 느껴질 만큼 반복되는 논쟁 등으로 ‘있음직한’ 현실을 보여주면서 ‘아 저럴 수도 있구나.’라는 공감 속에 잊고 지낸 미소를 발견하게 한다.
대학 선후배인 두 남자가 7년 만에 만난다.선배인 헌준(김태우)은 미국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온 감독지망생이고 후배 문호(유지태)는 미술대 시간강사를 하고 있다.낮술을 먹던 둘은 시차를 두고 사랑했던 선화(성현아)의 안부를 화제로 올린다.각각 가슴에 묻어둔 선화와의 첫 사랑을 상상하던 둘은 헌준의 제안으로 선화(성현아)를 찾아나서고 그녀 집에서 밤새 술을 마시며 옛날 이야기를 주고받는다.그리고 다음 날 아무 일 없었던 듯이 헤어진다.선화를 향한 헌준과 문호의 보이지 않는 팽팽한 긴장을 제외하면 영화는 밋밋함으로 일관한다.내용을 알듯말듯한 상태에서 마치 덜 끝난 듯한 인상마저 남기며 끝난다.화면이나 테이크를 길게 가져가는 스타일도 여전하다.
그러나 그만의 시선으로 웃음을 발견하는 독특함은 영화를 주목하게 만든다.특히 의미없는 장면에서,그냥 넘어가도 좋을 화제를 확대하는 방식은 여전히 기발하다.예컨대 문호가 재회 기념 선물로 “첫눈을 밟아요.”라고 말하자 헌준이 “개도 있네.”라고 엉뚱하게 대답한다.이에 질세라 문호는 “응, (눈을)밟아요. 원하면…”이라고 자기 말을 이어가는 식이다.또 있다.보석과 보물의 영어표현을 두고 문호에게 집요하게 설명하는 헌준의 모습이나 신혼여행때 미국에 갔을 때 자기 아내를 포옹했다고 필요 이상으로 화를 내는 문호의 행동도 그 연장에 있다.
이런 의미없음에 대한 과장된 매달림은 일상에 도사린 허구성을 꼬집으려는 감독의 전략으로 보인다.그 허구는 선화를 사이에 둔 헌준과 문호가 서로를 걱정하는 듯하면서도 질투하는 모습이나 “그냥 안아만 주면 안돼? 남자는 다 똑같아.”라고 외치는 선화의 대사에 잘 묻어난다.홍감독 마니아라고 밝힌 김태우나 유지태,성현아의 연기가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것도 영화를 보는 재미의 하나다.
이종수기자 vielee@seoul.co.kr˝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강원도의 힘’‘오! 수정’같은 영화들은 일상을 파고들면서 극단의 우울하고 답답함으로 관객을 ‘고문’하는 수준이었다.그러다 4번째 작품인 ‘생활의 발견’부터 약간 누그러지고 부드러워졌다는 평을 들었는데 ‘여자는‘도 그런 변화가 느껴진다.
새달 12일부터 열리는 제57회 칸영화제 공식 경쟁부문에 진출한 이 영화는 우선 일상에 대한 시선에 갑갑함이나 옥죔보다는 재미와 웃음이 더 많아졌다.물론 홍감독이 일상에서 발견하는 웃음은 파안대소가 아니다.그저 사소한 대화나 집착에 가깝게 느껴질 만큼 반복되는 논쟁 등으로 ‘있음직한’ 현실을 보여주면서 ‘아 저럴 수도 있구나.’라는 공감 속에 잊고 지낸 미소를 발견하게 한다.
대학 선후배인 두 남자가 7년 만에 만난다.선배인 헌준(김태우)은 미국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온 감독지망생이고 후배 문호(유지태)는 미술대 시간강사를 하고 있다.낮술을 먹던 둘은 시차를 두고 사랑했던 선화(성현아)의 안부를 화제로 올린다.각각 가슴에 묻어둔 선화와의 첫 사랑을 상상하던 둘은 헌준의 제안으로 선화(성현아)를 찾아나서고 그녀 집에서 밤새 술을 마시며 옛날 이야기를 주고받는다.그리고 다음 날 아무 일 없었던 듯이 헤어진다.선화를 향한 헌준과 문호의 보이지 않는 팽팽한 긴장을 제외하면 영화는 밋밋함으로 일관한다.내용을 알듯말듯한 상태에서 마치 덜 끝난 듯한 인상마저 남기며 끝난다.화면이나 테이크를 길게 가져가는 스타일도 여전하다.
그러나 그만의 시선으로 웃음을 발견하는 독특함은 영화를 주목하게 만든다.특히 의미없는 장면에서,그냥 넘어가도 좋을 화제를 확대하는 방식은 여전히 기발하다.예컨대 문호가 재회 기념 선물로 “첫눈을 밟아요.”라고 말하자 헌준이 “개도 있네.”라고 엉뚱하게 대답한다.이에 질세라 문호는 “응, (눈을)밟아요. 원하면…”이라고 자기 말을 이어가는 식이다.또 있다.보석과 보물의 영어표현을 두고 문호에게 집요하게 설명하는 헌준의 모습이나 신혼여행때 미국에 갔을 때 자기 아내를 포옹했다고 필요 이상으로 화를 내는 문호의 행동도 그 연장에 있다.
이런 의미없음에 대한 과장된 매달림은 일상에 도사린 허구성을 꼬집으려는 감독의 전략으로 보인다.그 허구는 선화를 사이에 둔 헌준과 문호가 서로를 걱정하는 듯하면서도 질투하는 모습이나 “그냥 안아만 주면 안돼? 남자는 다 똑같아.”라고 외치는 선화의 대사에 잘 묻어난다.홍감독 마니아라고 밝힌 김태우나 유지태,성현아의 연기가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것도 영화를 보는 재미의 하나다.
이종수기자 vielee@seoul.co.kr˝
2004-04-29 4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