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계 없이 숨진 무함마드 따르는 칼리프 따라 수니파·시아파 ‘반목의 역사’
이슬람 수니파와 시아파는 1400년간 해묵은 종교전쟁을 이어 왔다. 이들은 예언자 무함마드를 선지자로 여기고 하루 다섯 번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를 향해 엎드려 기도하는 등 공통점을 지녔다. 서로 원수로 여기게 된 건 632년 선지자 무함마드가 후계자를 정하지 않고 숨을 거두면서부터다.이슬람 공동체는 스스로 후계자를 정해야 했는데, 수니파는 공동체 합의에 따라 적임자를 뽑자고 주장한 반면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혈육을 후계자로 삼아야 한다고 맞섰다. 이에 따라 시아파는 선출된 1~3대 ‘칼리프’의 정통성을 부인하고, 무함마드의 사위이자 사촌인 4대 칼리프 알리만을 유일한 후계자로 인정했다. 반면 칼리프제는 정통 칼리프 시대를 거쳐 우마이야왕조, 아바스왕조까지 이어지다가 1258년 아바스왕조 멸망과 함께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이후 이집트와 오스만튀르크 제국에 꼭두각시 칼리프가 잠시 들어섰으나 터키의 지도자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1924년 공식 폐지했다.
현재 전 세계 무슬림 가운데 수니파는 85%, 시아파는 15% 수준이다. ‘신정일치’를 내세운 시아파 국가인 이란에선 최고 성직자인 최고 지도자가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 위에 있는 반면 수니파의 최고 종교 지도자들은 대부분 정부에서 월급을 받는 공무원 신분을 유지한다.
사우디와 이란은 1980년대 중반까지 비교적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1987년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당시 이란 최고 지도자가 사우디의 건국이념인 보수적 수니사상(와하비즘)을 이단이라고 비난하면서 1988년부터 3년간 국교가 단절되기도 했다. 이후 양국 정상회담이 열리는 등 한때 봄바람을 타기도 했으나 2011년 촉발된 시리아 내전으로 다시 냉각됐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6-01-1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