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사이트] “日 자기 칭찬 경향은 자신감 상실로 보여”

[글로벌 인사이트] “日 자기 칭찬 경향은 자신감 상실로 보여”

김민희 기자
입력 2015-03-16 17:54
수정 2015-03-17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포지티브 내셔널리즘’ 용어 첫 사용 정신과 의사 가야마 리카

정신과 의사로 일본의 각종 매체에서 활발히 활약하고 있는 가야마 리카(54)는 ‘포지티브 내셔널리즘’이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어낸 사람이다. 그는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일장기를 내걸고 기미가요를 부르며 열광한 일본 젊은이들의 모습에서 민족주의적 경향을 짚어낸 ‘프티 내셔널리즘 증후군’이라는 책을 펴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가야마 리카
가야마 리카


→당신은 생활 속의 내셔널리즘을 비판하는 데 천착해 왔다. 프티 내셔널리즘에 이어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에도 ‘일본은 강한 나라’ ‘힘내라 일본’ 같은 문구가 넘쳐나는 현상에 대해 ‘부흥 내셔널리즘’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지진은 엄청난 일이었으니 모두 손을 잡고 힘내자는 격려의 문구는 아픔을 뛰어넘기 위해 필요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내가 주목한 것은 지진 직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와중에도 이것을 계기로 옛날 일본이 전후 부흥으로 부국이 된 것처럼 ‘제2의 경제성장기’를 만들자는, 현실에서 동떨어진 꿈을 말하는 듯한 분위기였다.

→‘부흥 내셔널리즘’ 현상이 최근의 ‘포지티브 내셔널리즘’으로 이어진 것인가.

-그렇다. 최근에는 그런 경향이 더욱 분명해져서 NHK나 각종 민방에서 ‘세계가 동경하는 일본’이나 ‘세계가 인정하는 일본의 훌륭함’ 등 자화자찬하는 방송만 나온다. 이런 경향은 일본이 오히려 자신 없는 것처럼 보인다. 자신 있는 사람은 스스로를 낮출 수 있다. 타인으로부터 비판받아도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지금의 일본은 그게 안 되고 있다. 방송에서 브라질인이나 프랑스인을 앉혀 놓고 그들에게 “일본의 이런 점이 좋다”는 말을 들으면 그것이 그 나라 전체의 의견인 것처럼 생각해 버린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일 뿐인데 ‘브라질은 일본을 좋아하는구나’ 하는 식으로 납득하는 것은 사리 분별이 없는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방송뿐 아니라 서점가에서도 일본의 훌륭함을 역설하는 책이 인기를 얻고 있다.

-맞다. 내가 만일 외국인이라면 지금 일본에서 일하기가 쉬울 것이다. 가령 “나는 핀란드에서 왔지만 일본이 최고예요”라며 친일 외국인 캐릭터를 밀고 나가면 큰 인기를 얻고 책도 잘 팔릴 거다. 요즘 인터넷에서 “나는 한국인이지만 한국은 너무 싫고 일본이 좋다”는 식의 글을 쓰는 사람이 나오는데, 매우 인기가 많아서 책으로 출판되거나 한다. 일본인들은 이 책을 보고 “거 봐, 한국인도 한국이 싫다고 하잖아”라고 한다. 이런 현상은 자신의 불안함이나 자신 없음을 거꾸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글 사진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5-03-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