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뤼셀 연쇄 폭탄 테러] 무슬림의 ‘유럽 메카’서 자란 파리 테러 공범, 고향에 폭탄 터트려

[브뤼셀 연쇄 폭탄 테러] 무슬림의 ‘유럽 메카’서 자란 파리 테러 공범, 고향에 폭탄 터트려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6-03-22 23:12
수정 2016-03-23 0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왜 브뤼셀을 노렸나

압데슬람 체포 뒤 도주 중 범행
실업률 30%… 이민자 불만 극심

22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발생한 연쇄 폭탄 테러의 용의자로 최근 벨기에 당국이 체포한 프랑스 파리 테러의 생존 용의자 살라 압데슬람(26)의 동료들이 지목받고 있다. 이날 브뤼셀 국제공항의 테러 현장에서 용의자가 아랍어로 뭔가를 외치는 소리가 들렸다는 점에서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와 연관성에도 힘이 실린다.

나짐 라크라위
나짐 라크라위
텔레그래프와 가디언 등 외신들은 지난해 11월 13일 발생한 파리 테러의 공범으로 지목된 나짐 라크라위(24)와 모하메드 아브리니(30)가 이번 테러를 주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이날 보도했다. 브뤼셀 테러도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항과 지하철역을 대상으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한 것이 파리 테러와의 공통점이다. 현재 지명수배 중인 이들은 지난 18일 압데슬람이 체포된 뒤에도 경찰의 추적을 피해 도주 중에 있다.

앞서 디디에 레인더스 벨기에 외무장관은 20일 압데슬람이 브뤼셀을 목표로 한 테러를 계획했다고 밝힌 바 있어 압데슬람과 함께 파리 테러를 공모한 이들이 우선적으로 용의선상에 올랐다. 레인더스 장관은 “우리는 압데슬람의 은신처에서 중화기를 포함한 많은 무기를 찾아냈으며, 브뤼셀에 있는 그의 네트워크도 알아냈다”고 말했다.

시리아 출신인 라크라위는 압데슬람과 IS가 발호하는 시리아에 방문한 뒤 수탄 카얄이라는 가명으로 유럽에 돌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DNA는 파리 테러에 사용된 폭탄 벨트에서 검출됐으며 이후 경찰 조사에서 프랑스 국경에 인접한 벨기에의 한 마을과 브뤼셀에서도 발견됐다.

모로코 출신으로 벨기에 국적을 갖고 있는 아브리니는 압데슬람의 어릴 적 동네 친구로 오랜 기간 친분을 유지해 온 것으로 전해진다. 아브리니는 파리 테러가 있기 며칠 전 테러 당시 범인과 무기를 나르는 데 사용된 르노 클리오를 몰고 압데슬람과 프랑스 북부의 한 휴게소에 들어가는 모습이 폐쇄회로(CC)TV에 찍힌 이후 종적이 묘연하다. 아브리니는 18세 전후로 극단주의 단체에 가입했다.

아브리니의 남동생인 술레이만은 2014년 시리아에서 파리 테러의 총책인 압델라미드 아바우드가 이끄는 극단주의 무장단체에 참가해 전쟁을 수행하다 숨졌다. 아바우드는 파리 테러를 저지른 뒤 5일 후에 현지 경찰에 의해 사살됐다.

압데슬람, 라크라위, 아브리니를 비롯해 파리 테러에 연루된 사람들은 대부분 벨기에를 중심으로 소규모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 네트워크는 주로 가족과 친한 동료로 구성된 폐쇄적 조직으로 극단주의적 신념을 공유하며 테러 계획을 은밀히 공유한다. 압데슬람이 범유럽 차원의 체포 작전에도 4개월 동안 도주, 은신할 수 있었던 것은 네트워크의 지원 덕분이라고 가디언은 전했다.

특히 파리 테러 총책과 범인 대다수, 그리고 이번 브뤼셀 테러의 용의자 중 한 명으로 지목된 아브리니가 브뤼셀의 몰렌베이크 출신이라는 점도 주목된다. 몰렌베이크는 인구 10만명 가운데 30%가 무슬림으로, 대테러 전문가들은 이곳을 유럽 대륙에서 이슬람의 ‘유럽 메카’로 묘사했다. 이곳의 실업률은 30% 안팎에 달해 현실에 절망하고 불만을 품은 이민자 후손들이 이슬람 극단주의에 경도돼 테러범이 될 가능성이 어느 곳보다 크다.

벨기에 정부는 파리 테러 이후 몰렌베이크 등에서 대규모로 테러 용의자 체포 작전을 벌였으며, 학교에서 반(反)IS 교육도 진행해 왔으나 이번 테러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6-03-23 2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