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표적인 농민공 일터인 정저우 폭스콘의 아이폰 제조 공장에서 이주노동자들이 국수로 점심을 먹고 있다.
중국에서 대표적인 빈곤지역 가운데 하나인 구이저우성 출신 쉬옌(29)은 어릴 때부터 대부분 농부로 일하는 고향에서 벗어나 도시에서 일하고 싶어했다. 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2013년 구이저우성의 성도인 구이양으로 와서 물류회사 인턴으로 일했고 6년 뒤 관리직이 됐다”며 “옛날 농민공은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육체노동에만 종사해야 했지만 지금 농민공은 대부분 고등학교 또는 직업학교를 졸업했다”고 말했다. 젊은 농민공들은 배달업이나 미용업 또는 직접 창업하는 것까지 포함하면 이전의 농민공보다 훨씬 직업 선택의 폭이 넓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한 노동자들의 숫자는 2억 8836만명으로 전년보다 0.6% 늘어났다. 특히 1980년 이후 태어난 농민공이 전체의 50.5%를 차지해 처음으로 30대 이하의 젊은 층이 이주노동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새로운 농민공 세대의 특징은 장거리 이동을 싫어하고 고향과 가까운 도시에서 직장을 찾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노동집약적 산업이 동부 해안 도시에서 서쪽으로 이전하면서 서부 지역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도시화가 확대되면서 이주노동은 경제 발전을 위해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마원펑 농업전문가는 “현재의 이주노동자들이 이전 세대보다 더 다양한 직업 선택 기회가 있다지만 대다수는 도시에서 비교적 저임금을 감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농민공들이 기계나 첨단기술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런 우려 때문에 쉬는 지난 4월부터 전자상거래에 대해 배우기 시작했다. 중국의 호적제도 탓에 농민공들은 도시에서 몇 년씩 일해도 여전히 이주노동자 신세로 남을 수밖에 없는 것도 문제다. 호적제도는 농민공들이 건강보험이나 교육과 같은 사회보장제도 혜택을 받을 수 없도록 하는 걸림돌이기도 하다. 최근 몇몇 지방 정부는 농민공들이 소규모 창업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조치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중국 국무원도 농민공이 고향으로 돌아가 창업할 수 있도록 세금 또는 비용 감면과 같은 창업 지원을 하고 있다.
베이징의 새로운 공항인 다싱국제공항 현장에서 일하는 자오이보(29)는 18살 때 고등학교를 마치고 고향인 허베이성을 떠나 산시성 타이위안 등 여러 도시에서 일했다. 자오는 “딸과 가족들이 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생각 중”이라며 저렴한 토지비용과 인건비 등 창업하기에 좋은 점이 시골에 있다고 강조했다.
글·사진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