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한 비영리 단체가 선보인 ‘생선 우유’. 가루 형태로 시중에 유통되며 물을 섞어 마셔야 한다. 인스타그램 캡처
인도네시아에서 생선을 활용한 우유가 등장한 가운데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비영리 단체 ‘베리칸 프로틴 이니셔티브’는 젖소 부족 현상의 여파로 지난해부터 ‘생선 우유’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의 해안 마을 인드라마유에서 어부들이 하루 두 번 잡은 물고기를 공장에 배달하면 공장에서 물고기 뼈와 살을 분리한다. 이를 건조해 단백질이 풍부한 흰색 가루로 만든다.
이 가루를 별도의 시설로 운반해 설탕, 딸기나 초콜릿 향료를 섞은 다음 상자에 담아 시중에 유통한다. 이 혼합물을 물에 섞으면 생선 우유가 완성된다.
베리칸 프로틴 이니셔티브에서 생선 우유 생산을 관리하는 한 관계자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생선 우유는) 적어도 내게는 그냥 평범한 일반 우유 맛이 난다”고 전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풍부한 수산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선 우유에 관해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도 국가의 지원을 받으면 생선 우유를 연간 50만t 생산해 45억 달러(약 6조 2842억원) 가치 규모의 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일부 영양 전문가들은 생선 우유가 설탕과 인공 향료가 섞인 초가공 식품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이와 관련해 베리칸 프로틴 이니셔티브 측은 처음 선보인 제품보다 설탕 등 단맛을 줄인 건강한 제품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직접 소를 키우거나 호주 등 다른 나라에서 우유를 수입하는 게 더 낫다는 의견도 있다. 우유에서 나는 특유의 생선 냄새에 대한 불만을 제기한 소비자도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우유 대체 음료를 ‘우유’가 아닌 ‘음료’라고 표현하게 돼 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측은 우유가 아닌 제품에 우유가 들어간 것으로 혼동할 수 있는 표현인 ‘우유’나 ‘밀크’ 등의 용어 대신 ‘음료’라는 표현을 써야 한다는 입장이다.
식품위생법에 따르면 ‘우유류’는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것으로 유지방 성분을 조정한 것 또는 유가공품으로 원유 성분과 유사하게 환원한 것을 말한다. ‘음료류’에는 두유류, 다류, 커피, 과일·채소류 음료, 발효 음료류 등이 포함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