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 멈춰라”..유엔총회서 각국 정상 이구동성

“우크라이나 전쟁 멈춰라”..유엔총회서 각국 정상 이구동성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2-09-22 00:00
수정 2022-09-2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왕이 中 외교부장, 데탕트 설계사 키신저 만나 “대만해협 안정돼야”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지난 16일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열린 상하이 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두 정상은 제77차 유엔총회에 나란히 불참했다. 사마르칸트 AFP 뉴스1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지난 16일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열린 상하이 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두 정상은 제77차 유엔총회에 나란히 불참했다. 사마르칸트 AFP 뉴스1
20일(현지시간) 막을 올린 제77차 유엔총회 일반토의에서 주요국 정상들은 이구동성으로 우크라이나 전쟁 중단을 촉구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그의 ‘깐부’(같은 편)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나란히 불참한 가운데 ‘러시아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에서 퇴출시키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각국의 정상급 인사들이 차례로 연설하는 일반토의에서 발언자들은 러시아 침공을 규탄하면서 전쟁 중단 및 외교적 해결을 촉구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리가 2월 24일(우크라이나 전쟁 개시일)부터 목격한 것은 제국주의와 식민 시대의 복귀”라며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우리의 집단 안보를 깨뜨렸다. 러시아가 패권국이 아니라면 누가 패권국이겠는가”라고 비난했다.

그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처해 온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도 “전쟁에는 결코 승자가 없다. 공정한 평화 절차에는 패자가 없을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의 영토·주권 보전을 기반으로 전쟁을 끝내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미 PBS방송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2014년에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를 포함해 이번 전쟁으로 빼앗은 돈바스 지역 등을 우크라이나에 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전쟁으로 비롯된 글로벌 에너지 대란을 경고하며 “핵 무력 과시와 원전 안전 위협으로 지구촌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고 러시아를 비판했다.
제77차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찾은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19일(현지시간)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부 장관을 만나 미중 관계 대만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중국 외교부 제공
제77차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찾은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19일(현지시간)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부 장관을 만나 미중 관계 대만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중국 외교부 제공
교도통신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러시아를 안보리 상임이사국에서 내쫓고 자신들이 빈자리를 채우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고 전했다. 특히 숄츠 총리는 “이번 기회에 유엔 안보리를 개혁해야 한다. (러시아 대신) 독일이 상임이사국이 돼서 더 큰 책임을 지겠다”고 강조했다. 일본과 독일은 2004년부터 인도·브라질과 손잡고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꾀하고 있다.

한편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찾은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19일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을 만나 “미국이 대만 문제를 통제하는 것이 시급한 사안이다. 그렇지 않으면 미중 관계의 판이 뒤집힐 것”이라고 우려했다고 20일 중국 외교부가 밝혔다. 키신저는 1979년 미중 수교를 막후 지휘한 인물로 미국 내 대표적 친중파다. 중국은 미중 관계가 암초에 부딪힐 때마다 키신저와 면담하고 그가 베이징의 편에 서 있다는 점을 대대적으로 홍보해 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