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하원 위안부 결의 주역 데니스 핼핀 한·미 연구소 연구원
“위안부 문제 타결로 워싱턴에서의 ‘위안부 피로감’이 해소될 것이며, 한·일 간 실질적 협력이 가능해졌다.”데니스 핼핀 한·미 연구소 연구원
핼핀 연구원은 “이번 협상 타결의 장점은 미국의 주요 동아시아 동맹국인 한·일이 이제 온전하게 협력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라면서도 “희생자인 위안부 할머니들과 사전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할머니들이 최종 합의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워싱턴 일각에서 제기된 위안부 피로감이 해소되는 것에 대해 미 정부와 의회가 환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번 협상 타결은 특히 일본 측에서 볼 때 뛰어난 외교적 성과”라며 “아베 신조 총리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어떤 양보도 거부해 온 일본 극우파들과 함께 잘못을 인정해야 하지만 일본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노리는 상황에서 여성 인권을 옹호한다는 이미지를 보여 줄 수 있다”고 밝혔다.
핼핀 연구원은 “타결안이 한국 측에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며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 때와 마찬가지로 일본에 너무 양보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고, 위안부 소녀상 이전 여부도 정치적 부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미국 정부의 협상 개입설에 대해 핼핀 연구원은 “미 정부가 두 핵심 동맹국인 한·일이 해결책을 찾아 협력하고 동맹 이슈가 진전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을 넘어 위안부 문제라는 논쟁적인 이슈에 직접 개입하거나 중재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미 정부가 그 정도로 바보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12-3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