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에 새긴 ‘이슬람 혐오’… 美국방 문신 논란

팔에 새긴 ‘이슬람 혐오’… 美국방 문신 논란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5-03-30 18:18
수정 2025-03-31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교도 뜻하는 ‘카피르’ 새로 등장
“무슬림 모욕하는 의미” 거센 비판

이미지 확대
팔에 새긴 ‘이슬람 혐오’… 美국방 문신 논란
팔에 새긴 ‘이슬람 혐오’… 美국방 문신 논란 지난 25일(현지시간) 하와이의 한 군사기지에서 체력 단력을 하는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의 오른팔에 ‘카피르’라는 아랍어 문신이 새겨져 있다. 이 단어는 ‘이교도’를 의미해 이슬람 혐오 논란이 일고 있다.
헤그세스 X 캡처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이슬람 혐오 문신을 새로 한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전에도 몸 곳곳에 기독교 극단주의 문신을 해 여러 차례 논란에 휘말린 적이 있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인도·태평양 지역을 순방 중인 헤그세스 장관은 지난 25일 하와이의 한 군사기지에서 해군 특수부대와 체력 단련 중인 모습을 담은 사진을 소셜미디어(SNS) 엑스(X)에 공개했다. 그런데 사진 속 그의 오른팔 이두박근 안쪽에서 얼마 전까지만 해도 보이지 않던 아랍어 문신이 발견됐다.

논란이 된 문신은 ‘카피르’라는 단어다. ‘불신자’, ‘이교도’라는 의미가 있는데 무슬림 사이에서는 모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헤그세스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30대 때부터 몸에 기독교 극단주의를 상징하는 문신을 10개 이상 새겼다.

‘카피르’ 바로 위에는 ‘데우스 불트’라는 문신이 있다. 이는 ‘하나님의 뜻’이라는 의미로 11세기 십자군이 무슬림으로부터 성지를 탈환하려 할 때 사용했던 슬로건이다. 마찬가지로 그의 가슴에 새겨진 ‘예루살렘 십자가’ 문양은 기독교 극단주의 상징으로 통한다. AP통신에 따르면 그는 군복무 중이던 2021년 이런 극단주의적 성향 때문에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취임식 관련 임무에서 배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그 직후 군에 대한 혐오감으로 군복을 벗고 폭스뉴스 진행자가 됐다.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복무 경험이 있는 그는 2020년 인터뷰에서 “나는 내 관점을 원래부터 겉으로 드러내는 스타일”이라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이슬람관계위원회(CAIR)의 니하드 아와드 사무총장은 “자신의 몸에 ‘카피르’라는 단어를 문신으로 새긴 건 반무슬림적 적대감을 드러내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2025-03-3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