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윤석열 대통령과 북한군 파병 대책 논의”

젤렌스키 “윤석열 대통령과 북한군 파병 대책 논의”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4-10-29 18:45
수정 2024-10-29 18: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소셜미디어 엑스 공식계정 캡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소셜미디어 엑스 공식계정 캡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하고 북한의 지상군 파병 대책에 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X에 올린 입장문에서 “나는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면서 “무엇보다도 저는 한국이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에 대한 일관된 지지와 이미 제공했고 약속한 재정 및 인도적 지원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북한군이 개입한 것에 대해 논의했다. 결론은 분명하다. 이 전쟁이 두 나라를 넘어 국제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 3000명의 북한군이 배치됐고, 이 숫자가 약 1만 2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최근 자료를 그와 공유했다”고 했다.

또 젤렌스키 대통령은 윤 대통령과 “북한의 지상군 파병으로 인한 확전을 막기 위한 행동 전략과 대응책을 강구하고 상호 협력 파트너를 참여시키기 위해 모든 수준, 특히 최고위급 접촉을 강화하고 정보와 전문 지식 교환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이 합의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와 대한민국은 곧 대표단을 교환해 후속 조치를 조율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저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한 양자 안보 보장에 관한 주요 7개국(G7) 빌뉴스 선언에 한국이 동참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