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 우드 미 아크 인베스트 대표. 로이터 연합뉴스
아크 인베스트먼트가 운용하는 6개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의 올해 순유출액은 22억 달러(약 3조원)에 달했다. 지난해 1년간 유출액 7억 6000만 달러의 3배 수준이다. 코로나19가 퍼지던 2020년 한 해에만 200억 달러가 유입됐던 것과 비교하면 천양지차다.
액티브 ETF는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을 올리고자 적극적인 운용전략을 펴는 펀드를 말한다. 이 펀드들의 총자산은 올해 4개월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30% 급감한 111억 달러를 나타냈다. 590억 달러로 정점을 찍었던 2021년 초와 비교하면 5분의1 수준이다. 한때 ‘워렌 버핏의 시대가 끝나고 캐시 우드의 시대가 왔다’는 찬사를 받았지만, 지금은 그런 평가가 무색해졌다.
주력 펀드인 아크 이노베이션 ETF 주가는 올해 들어 20% 가까이 하락했다. 같은 기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생성형 인공지능(AI)와 기준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5%가량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실질 하락 폭은 더 크다.
캐시 우드의 펀드가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은 펀드 자금 상당부분이 그가 선호하는 일부 주식에 집중 투자돼 있어서다. 잘 되면 ‘대박’이지만 실패하면 ‘쪽박’일 수 있다.
아크 이노베이션 ETF의 경우 7개의 주식이 약 절반의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테슬라 주가는 올해에만 45% 급락했다. 유니티 소프트웨어와 로쿠도 각각 44%와 36% 하락률을 기록했다.
WSJ은 “분석가들은 캐시 우드의 펀드가 항상 위험하다고 말한다”면서 “금리가 제로에 가까울 때는 투기성 베팅으로 급등했지만 금리가 오르면 수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의 가치가 떨어져 급격히 하락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