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이언트 판다보호연구센터. 사진 웨이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8/SSC_20240418104803_O2.jpg)
![중국 자이언트 판다보호연구센터. 사진 웨이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8/SSC_20240418104803.jpg)
중국 자이언트 판다보호연구센터. 사진 웨이보
중국 자이언트 판다보호연구센터는 지난 17일 웨이보를 통해 격리 생활 2주 차 푸바오의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은 지난 10일에 공개한 격리 1주 차 영상과 같이 지난 12~16일 닷새간 촬영된 푸바오의 일과 모습이 일기 형식으로 제작됐다.
영상을 보면 푸바오는 워터우, 당근, 대나무 잎 등 먹이를 맛있게 먹는다. 지난 15일에는 방사장에 나와 활동하는 모습도 담겼다.
판다보호연구센터는 “푸바오는 식욕도 좋고 에너지도 넘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방사장을 탐색하기 시작했으며 바깥 활동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자이언트 판다보호연구센터 웨이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8/SSC_20240418104804_O2.jpg)
![중국 자이언트 판다보호연구센터 웨이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18/SSC_20240418104804.jpg)
중국 자이언트 판다보호연구센터 웨이보
‘행복을 주는 보물’이라는 뜻의 푸바오는 ‘용인 푸씨’ ‘푸공주’ ‘푸뚠뚠’ 등 다양한 애칭으로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푸바오는 이달 초 중국 쓰촨성 워룽선수핑기지로 떠났다. 중국이 해외 각국에 보낸 판다는 멸종위기종 보전 협약에 따라 만 4세가 되기 전에 중국으로 돌아가야 한다.
푸바오는 워룽선수핑기지에서 1개월 정도 격리·검역 절차를 거친다. 격리가 끝난 이후에는 워룽선수핑기지·워룽허타오핑기지·두장옌기지·야안기지 4곳 중 한 곳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푸바오가 새 환경에 빠르게 적응할 경우 일반 공개 시기도 앞당겨질 수 있다. 선수핑 기지의 쩡원(曾文) 사육사는 중국 월간지 ‘중국’과의 인터뷰에서 “판다마다 적응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공개 시점은 예측할 수 없다”며 “과거 중국에 돌아온 판다의 사례를 보면 짧게는 1∼2개월에서 길게는 7∼8개월이 걸린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